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토목지질 316

사용종료메립장 주변환경조사 보고서(사용종료매립시설 조사 방법)

사용종료매립시설 조사방법사용종료매립시설에 대한 주변환경영향종합조사는 매립시설로 인하여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사후관리 혹은 사후관리종료 및 정비사업 대상 매립시설을 구분하는 등 향후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주변환경영향종합조사는 주변환경영향조사와 매립시설의 안정화도 조사로 크게 구분한다. 4.1 주변환경영향조사매립시설 주변환경영향평가는 매립시설로 인하여 지하수, 지표수 및 토양오염 등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적정사후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70조 제1항』에 의한 사후관리 기준 및 방법에 의한 지하수 수질조사는 매립시설을 상류부와 하류부로 구분하여, 상류부 1개소, 하류부 2개소 이상에 설치한 지하..

사용종료매립장 주변환경영향 조사 결과 및 시설물 기능 평가와 사후관리 방안

매립시설은 00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2007년 매립시설 정비 및 안정화 사업을 시행 후 현재 나대지 상태이다. 1990년 5월 1일 매립을 시작하여 약 17년간 구미시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 건설폐기물, 슬러지 등을 매립하였으며, 사업부지면적은 123,199 ㎡, 매립용량은 2,332,000 ㎥으로 추정된다. 매립시설은 폐기물관리법 설치규정에 맞게 바닥부에 차수재, 침출수 배제관 등을 설치한 준호기성 위생매립시설로 은 매립시설의 현황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며, 은 위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매립시설 현황 구 분 구포 사용종료매립시설 위 치 번지 일원 부지면적 123,199 ㎡ 매립용량 2,332,000 ㎥ 매립기간 매립방법 준호기성 위생매립시설 매립대상폐기물 생활폐기물, 건설폐기물, 슬러지 등 토지이용현황..

사용종료매립장 종합결론(주변환경영향조사, 안정화도 조사, 시설물 기능 평가와 사후관리방안)

「사용종료매립지 정비 및 사후관리업무지침[환경부, 2013.04]」과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70조 관련 [별표 19]」의 사후관리기준 및 방법 제1항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용종료매립장의 사후관리에 있어 폐기물매립시설 검사기관으로 하여금 매립장에 대한 시설물, 운영 관리 실태와 주변 환경오염도 및 폐기물 안정화도 등에 대하여 관계법령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향후 적정 사후관리 방안 및 사후관리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주변환경영향 조사결과7.1.1 지하수■ GW-1지점은 일반오염물질 중 수소이온농도(pH)는 7.1 ~ 8.0, 총대장균군수 불검출 ∼ 2,400 군수/100mL, 질산성 질소(NO3-N) 불검출 ㎎/L ∼ 4.0 ㎎/L, 염소(Cl) 7.4 ㎎/..

사용종료매립장 매립지 안정화 조사방법 및 사후관리 기준 및 방법

사후관리 기준 및 방법폐기물관리법 제50조 2항 및 시행규칙 제70조 관련> 1. 사후관리기간 법 제5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사용종료 또는 폐쇄신고를 한 날부터 30년이내로 한다. 다만, 제41조제3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매립시설 검사기관(이하 “매립시설 검사기관”이라 한다)이 침출수의 성상과 양, 지하수․해수․하천의 수질, 토양의 오염도, 매립가스의 질과 양, 축대벽․벽 등의 안정도 등을 조사한 결과 사후관리가 필요하지 아니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신청에 의하여 시․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사후관리의 종료를 결정․통보한 날까지로 한다. 2. 사후관리인원 침출수처리시설 등 사후관리가 필요한 모든 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전담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3. 사후관리항목 및 방법 가. 빗물배제방법 별표 ..

사용종료매립장 매립시설 정비방안 및 사후관리

매립시설 정비방안 및 사후관리3.1 매립시설 정비방안1990년 이전에 우리나라에 조성된 매립지는 대부분이 비위생매립시설로 저습지, 계곡 등에 지하수 오염방지시설, 발생가스 처리시설, 침출수 집․배수시설 등 환경오염 방지시설이 전무하거나 저급한 시설들이 적용된 상태에서 체계적인 매립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동안 사용이 종료된 매립시설은 대부분 주거지역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해 나대지 또는 환경이 불결한 상태로 방치되어 왔으나, 최근 도시공간 확장에 따른 토지활용도 증가, 신규 매립시설 확보의 어려움, 지역주민의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변화 등으로 매립시설의 원상복구 또는 정비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3.1.1 정비방법사용종료 매립시설의 정비방법은 매립폐기물의 처리방법에 따라 이적처리, 선별이..

PPG, PCF, LW 공법의 비교

공법내용공법 비교표 P.P.G 공법P.C.F 공법L.W 공법공법개요흙입자 사이와 갈라진 틈속에 1∼7kgf/cm2 이하의 저압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공극과 틈새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주입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서 지반의 파괴나 교란없이 주입재의 충전밀도를 높여 시공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공법시공현장에서 제조한 실리카졸(A액)과 시멘트 현탁액(B액)을 복합하여 무공해성인 실리카졸계 주입재를 만들고, 역류방지 및 누수방지 수단이 장착된 압축에어 또는 핸들압축식 지반강화제 주입장치를 사용하여 저압으로 압입하는 약액주입공법지반을 천공한 후 지중에 멘젯튜브를삽입한후 Double Packer(1.5Shot방식)를 이용하여 물유리와 시멘트가 혼합된 주입재를 주입하는 최초의 약액주입공법시공전경 시공순서① 계획 심도까..

침투류 해석(유선망 분석), 카상그란드 공식, 누수량 허용한계 기준 등에 대하여

가. 유선망분석 -. 해석 프로그램 : SEEP/W-. 해석방법 : 2차원 정상류 해석(하류사면)-. 내 수 위 : 정상류 해석시 : 만수위[EL(+)76.7m-. 적용 조건  시료명심도(m)구간(m)평균투수계수, 현장시험( , cm/s)시험방법비고중심코어1.5∼17.816.35.67×10-4변수위제체 * 심도별 투수계수는 보링조사 결과 평균치를 적용-. 해석결과 : 침수수량 346㎥/d가. 침투수량댐은 완성후 얼마간은 흙의 압밀현상에 의하여 안전도가 증가하나, 그 절정이 지나면 노후화현상이 나타난다. 침투경로는 제체 균열부 및 간극부, 제체와 기초의 접촉부, 제체와 구조물과의 접속부, 양안 산측 경계부 등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양의 측정에 있어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누수량 허용한계는 다음과 같다..

토질 및 암반 분류법

1 토질의 분류방법▪흙의 상태에 대한 기재 내용은 토질의 연경도, 상대밀도, 함수상태, 색도 등이며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그 결과를 시추 주상도에 기록한다.가. 육안 분류법나. 흙의 통일분류법(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다. 흙의 통일분류법(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에 사용되는 기호와 뜻라. 세립토의 연경도와 일축압축과의 관계마. 사질토의 상대밀도바. 함수비에 따른 분류사. 색도에 따른 분류2 암반의 분류방법▪암석의 풍화 상태, 불연속면의 간격(절리나 파쇄대의 간격) : 강도 및 암질표시는 ISRM(국제암반역학회)의 분류 방법에 의거 분류▪지반조사 과정에서 회수된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석시험 및 육안관찰을..

터널(T/L)그라우팅에 대하여

1) 그라우팅의 필요성 터널 라이닝콘크리트는 터널을 형성하는 주변암체와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터널 설계시 지진 등 외부충격에도 터널구조물은 주변암체와 같이 거동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으므로 터널 배면 공간의 존재는 설계와 시공에서 근본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지반의 이완으로 방수 및 배수시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지하수가 라이닝콘크리트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천정부에 공간이 있으면 지하수 축적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발생시켜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심지어 상부지반의 이완 또는 라이닝 천정부의 종방향 균열 등을 가속시킬 수도 있다. 최근 터널 안전진단시 비파괴 탐사인 GPR탐사를 수행한 결과를 보면 과거에 시공된 터널에서는 이러한 공간이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 시공되는 N..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