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토목지질 316

오염토양 정화기술(동전기법(Electrokinetic Separation)과 소각법(Incineration))

동전기법(Electrokinetic Separation)(1) 기술개요동전기 정화(electrokinetic remediation : ER)법은 투수계수가 낮은 포화토양에서 이온상태의 오염물(음이온, 양이온, 중금속 등)을 양극과 음극의 전기장에 의하여 이동속도를 촉진시켜 포화지역의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동전기법은 지중처리(In-situ) 토양 정화 기술로서 오염지역에 전극을 연결하고 낮은 강도의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투수계수가 낮은 토양, 점토, 슬러지 그리고 해양준설토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오염토양 처리기술 중 미세토양이 다량으로 혼합되어 투수계수가 낮은 토양의 경우 통기성 및 유체의 이동성이 낮아 토양오염 처리기술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지만 동전기법은 투수계수가 낮은 토양의..

오염토양 정화기술(용제추출법(Solvent Extraction)과 고형화/안정화(Solidfication/Stabilization))

용제추출법(Solvent Extraction)(1) 기술개요용제추출법은 오염토양을 추출기내에서 유기용매와 혼합시켜 용해시킨 후 분리기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물리․화학적 지상처리(Ex-situ)기술이다. 본 기술은 토양세척법과 같이 토양에 흡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추출하여 처리하는 면에서 공통적인 공정원리를 가지고 있지만 오염물질을 용해시키기 위한 세척제로서 물이 아닌 유기용매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용제추출법은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기술이기 보다는 토양, 슬러지 및 퇴적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오염토양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용제추출법을 적용할 경우 추출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염토양과 추출용매의 접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회전 교반 장치가 필요하며..

오염토양 정화기술(토양세정법(Soil Flushing)과 토양세척법(Soil Washing))

토양세정법(Soil Flushing)(1) 기술개요토양세정법은 물 또는 오염물질 용해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첨가제(계면활성제 등)가 함유된 물을 관정을 통하여 토양 공극 내에 주입함으로써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탈착시켜 지상으로 추출하여 처리하는 지중처리(In-situ) 기술 중에 물리/화학적 처리기술에 속한다. 주입관정을 통하여 유입된 세정용액은 지하의 오염지역을 통과하면서 토양입자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용해도를 높여 토양입자로부터 탈착시키고 이를 추출정을 통하여 양수함으로써 오염지역의 토양을 정화한다. 본 기술은 처리과정에서 세정제로서 알코올, 착염물질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양수된 물은 지상에서 배출허용기준치까지 후처리하여 배출 또는 다시 지중으로 주입하는 등 재이용한다. 토양세정법은 생..

오염토양 정화기술(퇴비화법(Composting)과 자연저감법(Natural Attenuation))

퇴비화법(Composting)(1) 기술개요퇴비화법은 지상처리(Ex-situ)기술로서 폐슬러지 등의 폐기물 및 오염토양을굴착하여 파일을 만들어 유기오염물질을 인위적으로 퇴적 분해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본 기술은 바이오파일과 같이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를 이용하지만 오염물질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분해하지 않고 일부 무독성의 유기물로 안정화시켜 토양개량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퇴비화법은 호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오염물질을 50~55℃의 온도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안정화시키고 병원균을 사멸시킨다. 퇴비화법에 있어서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호기성 상태의 유지를 위해 다량의 공기를 과잉으로 주입하는 것은 파일안의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

오염토양 정화기술 (바이오파일법(Biopile)과 식물재배 정화법(Phytoremediation))

바이오파일법(Biopile)(1) 기술개요바이오파일 공정은 Biocells, Bioheaps, Biomounds, Compost Piles 이라고도 불리우며,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토양의 유기성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공정이다.본 기술은 지상처리(Ex-situ)기술로서 오염된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파일(piles)을 쌓은 후 배관을 통하여 공기 및 영양물질 주입하고, 수분함량 등을 조절하여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바이오파일 공정은 토양경작법과 같이 지상처리기술로서 오염토양을 굴착, 이송하여 처리하며, 공기주입을 통해 미생물의 활성을 증대시켜 처리효율을 증가시키는 공정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그러나 토양경작법은 토양을 넓은 지역에 얇게 펴고 경작을 하거나 이랑을 만들어 통기시키는 과..

오염토양 정화기술 개요(생물학적 분해법 Biodegradation)

1. 생물학적 분해법(Biodegradation)(1) 기술개요생물학적 분해법이란 지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오염물질을 이산화탄소(CO2)와 물(H2O)과 같은 무독한 생성물로 만드는 자연친화적인 기술이다. 생물학적 분해법에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생분해 과정은 호기성 생분해 과정과 혐기성 생분해과정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호기성 생분해 과정이란 미생물이 대사작용에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이용하여 유기오염물질을 이산화탄소, 물, 그리고 미생물세포 등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이와는 달리 혐기성 생분해 과정이란 산소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산소 이외에 다른 물질을 미생물 대사작용의 전자수용체로 이용하여 메탄, 이산화탄소, 수소 등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호기성 및 혐기성 생분해 과정이..

시추조사, 불교란시료채취, 표준관입시험, SPT효율측정, 시험굴조사, 핸드오거보링, 블럭샘플링, 현장베인시험, CPT 및 CPTu, 평면팽창계시험, 공내재하시험, 탄성파탐사, 전기비저항탐사, 공내..

구분조사항목선 정 사 유설 계 활 용예비조사기존자료수집⋅원안설계 및 인근조사 자료 분석⋅기존자료 시험성과의 설계반영 적합성 검토위성영상 및 음영기복도 작성⋅과업지역의 지질구조 및 암석학적 특성파악⋅단층 및 연약대등 취약 암반구간을 예측하여 상세조사계획에 반영지표지질 조사⋅과업지역의 지질구조대 특성파악⋅지지층 선정 및 지반정수의 추정고지형도 분석⋅매립이력 및 고지형 확인⋅인공위성영상분석, 각종 물리탐사결과 등과의 종합적인 과업지역 지질특성 분석현장조사시추조사⋅수직적인 지층상태 파악⋅대부분의 원위치시험 포함불교란시료채취⋅연약지반의 역학시험 재료로 사용⋅연약지반의 강도 및 압밀특성 파악All Sampling⋅퇴적환경분석의 재료 및 육안확인⋅Sand seam확인 및 퇴적환경 분석표준관입시험⋅N값으로 지반특성 파..

방조제 그라우팅

제체의 점검은 시공후에 발생한 해측과 내측의 수리․수문학적 변동사항 및 제체와 피복재 및 휠터재 등의 구조적 손상형태 등을 파악하여 제체 파괴원인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둑마루의 훼손, 요철, 계획고의 유지상태를 점검하고, 파손이나 침하 및 누수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측량을 실시한다. 특히 누수는 제체에 치명적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세굴, 붕괴 등의 흔적, 누수현상, 위치, 탁도 및 누수량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방조제 제체를 통한 누수는 일반적으로 제체 내측사면 끝이나 내수위선 부근에서의 침투수가 유출되는 것을 말하며 이것은 해측수위의 승강으로 해수가 침투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체에서 누수를 일으키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제체단면이 부족한 경우 ◦ 해측의 밑다짐공 부분이나 피복석 지지..

필댐의 누수 유형별 분류 및 탐사의 종류와 근거

댐 건설이후 기술자의 예측 밖의 여건으로 인해 댐체나 통관 등 부대시설이 결괴되거나 누수현상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한 조사와 누수방지를 위해 개략 서술코자 한다.댐 결괴는 시공시 부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였거나 다짐부족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나 주로 방류능력(spillway capacity)부족과 기초지반의 결함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방류능력의 부족은 계획홍수량 빈도 설정의 부적정, 기상이변으로 인한 호우발생, 토지이용이나 임상변화로 인한 홍수유출량의 증가 등에 주원인이 있다. 대부분의 댐 결괴는 기초지반 결함에 원인이 있으며, 복잡한 지반여건이 설계와 시공과정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간과하였는데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다량누수에 의한 댐 결괴는 지질적인 결함 즉 단층, 조밀 또는 개구상의 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