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지질학 230

우주 ‘태초의 빛’ 찾는 일(130억년 전 은하)

130억년 전 은하… 우주 ‘태초의 빛’ 찾을까????▲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활동 가상도.NASA 제공인류가 우주를 탐사하고 관찰하는 이유는 순수한 과학적 호기심과 지구 이외의 새로운 거주지 개척 등 두 가지다. 최근 이에 대한 답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21년 크리스마스 때 발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관측 결과와 2020년에 발사돼 이듬해부터 화성 표면을 탐사하고 있는 탐사 로버에 대한 것이다.호주, 미국, 덴마크, 스페인 4개국 13개 연구기관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이 NASA의 JWST로 빅뱅 이후 약 5억~7억년이 지나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 은하 후보군을 관측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2월 23일자에 실렸다...

새로운 별이 무더기로 태어나는 성운(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

아래 사진의 배경은 수소 원자로 인해서 파란색으로 보이며 창조의 기둥 주변에 퍼져있는 많은 별과 곧 태어날 별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이란 새로운 아기 별들이 무더기로 태어나고 있는 현장의 성운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 사진 출처 : NASA, ESA, CSA, STScI, NIRCam [우주를 보다] 제임스 웹이 포착한 ‘창조의 기둥’의 민낯…별들의 탄생 현장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하 웹 망원경)이 잡은 놀라운 ‘창조의 기둥’ 이미지가 발표됐다.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이란 새로운 아기 별들이 무더기로 태어나고 있는 현장의 성운이란..

지구와 소행성 폭발 포착(소행성 탐지 기술의 발전)

충돌 예측된 7번째 소행성…지난 23년 1년간 3개 관측능력 발전지구 충돌 경로에 있는 작은 소행성이 사전에 포착돼 영국 해협의 새벽 하늘을 순간적으로 밝히는 장면이 생생하게 포착됐다.유럽우주국(ESA)에 따르면 약 1m 크기의 이 소행성은 13일 새벽 2시 58분(현지시간·한국시간 13일 오전 11시58분) 대기권을 뚫고 불덩어리(火球)가 돼 떨어지다 영국해협 상공에서 폭발하며 장관을 연출하고 어둠 속으로 사라졌다.파편 중 일부는 프랑스 노르망디 루앙의 북부 해안가에 떨어졌을 수도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소행성의 지구 충돌 장소와 시간까지 정확히 예측돼 있던 터라 이 장면은 프랑스와 영국은 물론 멀리 벨기에와 독일에서도 목격됐는데, 하늘에 궤적을 그리다가 폭발하는 장면을 잡은 동영상이 ESA 홈페이지에도..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의 작성방법(제3조 관련)

적용범위오염평가보고서의 작성은 본 작성방법을 토대로 하며 지하수오염유발시설과 오염물질의 종류, 오염현황 및 면적 등을 고려하여 지하수 수질 개선을 기할 수 있도록 조사·평가 방법을 지하수오염유발시설관리자가 조정할 수 있다. 작성 개요 및 절차가. 개요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위해성, 오염범위, 오염원인에 대한 평가, 오염방지대책 및 그 밖의 지하수 오염 예방에 따른 사항을 작성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평가한다. 나. 작성절차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의 작성 절차는 다음과 같다.가) 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위해성나) 개략적인 오염범위 추정을 위한 자료수집 및 현장조사다) 추가 관측정 설치를 통한 오염물질 분석, 수리지질조사 및 오염범위 분석라) 지하수 유동특성 분석마) 오염도 작성 및 오염물질 총량 추..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의 작성내용(제3조 관련)

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위해성 가. 지하수오염관측정 중 수질기준을 초과한 관측정에 대하여 오염항목의 수질기준과 수질측정결과를 제시 나. 오염항목 각각에 대해 「토양환경보전법」 제15조의5의 규정에 따라 환경부가 발령한 「토양오염 위해성평가지침」(환경부예규) 또는 WHO, EPA 등 국제기관에서 공인한 평가방법에 의해 위해성을 평가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한반도의 활성단층(정밀조사)

①학문적 개념 - 활성단층지도   a.제4기 동안 활동한 단층 모두를 활성단층   b.가까운 과거에 단층운동이 있었고, 앞으로 가까운 미래 혹은 장래에 일어날 단층   c.지표지진단층과 구분 : 지표면에 rupture을 일으킨 단층②공학적개념 – 산업시설 등의 내진설계용   a.국가마다 정하는 기준 다름* 기자료 수집, 정리, 검토 및 분석        1997년 이후 부터 생산된 모든 활성단층조사 자료 수집          예) 연대측정 시료 번호 및 측정 연도 기재        각 단층 노두들의 최초 원저자에 충실하게 모두 기재- 기득권 인정 단층 기술       기자료 들은 대부분 제4기 지형 기술이 결여à 지형 분류 및 지형 특성 기술 추가 기재       항공사진 판독에 의한 지형분석 * 양산단..

자연이 만든 박물관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 10걸 명소

—국내 10번째로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백령대청지질공원은 신이 만들었다는 해안 절경과 10억 년의 신비를 품은 다양한 지질을 자랑하고 있다. 국가지질공원 대상지는 총 66.86㎢이다.——백령도 두무진, 진촌리 현무암, 사곶해변, 콩돌해안, 용틀임바위, 옥죽동 해안사구, 농여해변과 미아해변, 서풍받이, 검은 낭, 소청도 분바위(월띠) 등 모두 10개의 지질명소 등이 있다.——약 10억년 전의 원생대 퇴적암(암석종)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7억년) 화석 스트로마톨라이트 등이 있는 백령·대청 지질공원은 국내 지질공원 가운데 천연기념물(용트림, 진촌리 현무암, 콩돌해안, 사곶해변)이 가장 많이 지정돼 있다.——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는 남조류(박테리아)와 진흙 등의 퇴적물이 여러 층으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