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지질학 230

불연속면의 종류및 조사, 불연속면의 공학적인 특징

더보기1. 정의- 절리(모든 암반), 층리(퇴적암), 엽리(변성암), 단층·파쇄대(대규모 지질구조) 등 암석의 물리적 연속성이 끊겨있는 면을 불연속면(Discontinuities in Rock Mass)라 한다.※ 암석(Rock)- 무결함으로 이루어진 여러 종의 광물의 집합체(유기물이 자연적인 덩어리를 이루거나 집합체를 형성)- 냇가나 강바닥의 자갈 또는 석탄 등- 지반이라 함은 흙과 암석뿐만 아니라 암반의 절리 등 간극을 충진한 지하수나 공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암반(Rock mass)- 암석과 불연속면을 포함한 암체(rock mass)를 의미- 암반거동, 불연속면의 특성이 매우 중요하며, 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공사에서 암석강도가 아무리 높다 해도 불연속면에서 파괴가 우선적..

꽃가루 화석에 대한 지식(대멸종기 유해 자외선, 꽃가루 화석과 생태계, 식물의 타임캡슐)

꽃가루 연구를 통해서 식물들이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더보기화석의 조건과 여러 종류구체적으로 화석을 살펴보기 전에 또 하나 알아둘 것은 화석이 어떻게 만들어지느냐이다. 화석은 주로 죽은 생물체가 다른 생물에 의하여 먹히거나 분해되지 않은 채 신속하게 점토질의 진흙이나 모래 등지에 묻혀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몇몇 특수한 조건들이 있어야만 한다.첫째, 우선 죽은 생물이 곧바로 모래나 진흙 속에 파묻혀야 한다. 주로 바다와 호수 밑바닥이 화석이 될 수 있는 좋은 환경이다. 그래서 사실 바다 생물이 화석으로 더 많이 남아 있기도 하다. 그러나 사막과 스텝 지역도 화석이 되기에 좋은 환경이다.둘째, 사체가 거의 부패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서히 광물질 성분으로 바뀌어야 한다. ..

변성암(Metamorphic Rock): 변성작용의 요인, 변성암의 구조, 변성암의 종류, 변성상

변성작용(Metamorphism)은 암석에 큰 압력이 나 높은 온도가 가해질 때 화학성분의 가감이나 교대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며,기존 암석이 변성작용을 받아 형성된 새로운 암석을 변성암(Metamorphic Rock) 이 라 한다. 변성암은 화성암· 퇴적암 및 기존 변성암으로 부터 만들어 진다.퇴적암ㆍ화성암도 마찬가지. 변성이란, 암석의 환경이 변화하면서 수반되는 모든 종류의 변화를 지칭한다. 보통 암석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환경 요소는 열, 압력과 유체분압 세 가지를 가리킨다. 그리고 암석이 겪는 변화는 보통 조직(texture), 광물조합, 조성, 동위원소 비 등 다양한 모든 변화를 포괄한다. 뿐만 아니라 변성 작용은 굳이 닫힌계일 필요가 없으며 보통 변성암은 열린계(open system)를 가정하게..

빙하기의 모든 지식(빙하기 시대적 상황)

빙하기: 인류가 경험하였을 추위는 지금으로부터 약 2만 년 전쯤에는 지구상에서 가장 추위가 맹위를 떨치던 시기가 도래한다. 이 시기에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만한 빙하가 뉴욕까지 밀고 들어와 인류의 삶은 빙하를 피해 적도 부근으로 내려가기도 하게 되는데, 이 시기를 ‘최종빙기 극성기’라고 하며 얼음으로 수백 미터 두께의 다리를 만든 베링 해를 건너 신대륙으로 인류가 이주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이 시기의 지구는 현재의 기온을 0으로 했을 때 약 8.5도 정도의 평균 기온의 하강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극지방에 가까울수록 기온의 변화는 더욱 심하여 생물의 생존에 많은 어려움을 주었다.빙하시대란 현재보다 넓은 면적의 지표면이 빙하로 덮여 있던 시기를 지칭하는 지질시대(地質時代)의 일부 기간이다. 플라이스토세(1..

연약지반의 의미, 조사, 시험 및 계측과 대책 강구(설계요령 포함)

연약지반처리공 1)관련기준◦ 도로설계요령(2009,한국도로공사) ◦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2011.12,국토해양부) ◦ 도로설계편람(2012.04,국토해양부)2)연약지반 기준(1)연약지반의 판정은 흙쌓기 규모나 구조물 목적에 따라 상대적인 의미로 평가된다.(2)연약지반의 상대적인 의미의 평가란 시공성(Trafficability),지반의 활동파괴,구조물 지 지력확보 여부,장기적인 압밀침하 등에 대한 안정성 평가이며,불안정한 경우는 연약지 반으로 취급하여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3)일반적인 의미의 연약지반은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4)연약지반의 검토(1)연약지반 안정 분석과정(2)연약지반 안정 검토기준① 허용침하량 ◦ 도로공용시 :10cm ◦ 배수박스 :30cm② 허용안전율(3)연약지반 계측 관리기준① ..

토양유기물, 토양단면 및 토양의 물리적 특성

토양 유기물• 생물체에서 유래한 사체 및 배설물(토양 중 약 1-7% 차지)• 종류 ① 부식질 (humus) • 토양 유기물이 미생물 분해작용에 의해서 변화된 일정한 형태가 없는 교질(colloid)상의 복잡한 혼합물 • 화학적으로 안정된 고분자량의 방향족 중합체이면서 관능기를 많이 함유 ② 비부식질 • 미분해이거나 부분적으로 분해된 유기물을 의미 • 단당류, 아미노산, 타닌, 유기인산염 등​• 부식질의 종류① 휴믹산(부식산, humic acid) ▷ 알칼리에 녹고 산에 녹지 않는 물질 ▷ 황갈색~흑갈색 ▷ 중~고분자의 산성물질이며, 무정형의 물질 ▷ 방향족고리를 가지며 이중결합을 많이 가지고 있음 ▷ 양이온치환용량이 200~600me/100g로서 매우 높음 ▷ 1가의 양이온과는 수용성 염을 만듦 ▷..

표준화석, 시상화석과 화석이 되는 과정

화석이 되는 과정화석의 조건과 여러 종류구체적으로 화석을 살펴보기 전에 또 하나 알아둘 것은 화석이 어떻게 만들어지느냐이다. 화석은 주로 죽은 생물체가 다른 생물에 의하여 먹히거나 분해되지 않은 채 신속하게 점토질의 진흙이나 모래 등지에 묻혀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몇몇 특수한 조건들이 있어야만 한다.첫째, 우선 죽은 생물이 곧바로 모래나 진흙 속에 파묻혀야 한다. 주로 바다와 호수 밑바닥이 화석이 될 수 있는 좋은 환경이다. 그래서 사실 바다 생물이 화석으로 더 많이 남아 있기도 하다. 그러나 사막과 스텝 지역도 화석이 되기에 좋은 환경이다.둘째, 사체가 거의 부패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서히 광물질 성분으로 바뀌어야 한다. 단단한 껍질이나 골격이 생성된 생물체가 화석으로 많이 남아 있는 것은 부패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