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지하수 124

화강지 침출수조사 보고서(지표지질조사)

지질구조대란 단층 및 대규모 파쇄대와 같이 연장성이 양호하고 범위가 크며 2차 유효공극이 잘 발달된 지질구조대를 의미하나, 소규모 구조대란 암석의 수축⦁팽창작용으로 형성된 절리나 암석내에 2차 유효공극의 발달구간을 의미하며 대부분 절리다발대에 따른 소공극대을 말한다. 화성암은 심성암, 관입암 및 분출암으로 분류하고 본 지구일대에 나타나는 분출암에는 화산폭발에 의해 지표로 분출된 암석으로 화산성 쇄설암으로 구성된다. 이런 암석은 극히 양호한 대수층이 발달하는 것으로 책에는 기재되어 있고 금회 침출수와도 연계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지하수의 유동은 일반적으로 지하함양-대수층 내에서 거동-배출과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하로 함양된 지하수는 해당지역의 지형기복, 지면의 경사, 수계특성 및 지질구조에 따라 산출..

드론 활용한 저수지 누수에 따른 전기비저항탐사(쌍극자 탐사)

박상주 박사 연락처 : 010-3816-1998가) 전기비저항탐사는 제체재부의 2차원 단면 확보가 가능한 방법을 적용토록한다. 나) 탐사방법은 쌍극자 배열법을 우선적용한다. 다) 탐사물량은 제정부 1측선 시행을 원칙으로 하며 제체 여건상 측선 조정이 필요할 경우는 사전에 감독관과 협의하여 결정한다. 라) 제체 여건에 의해 전기비저항법 적용이 불가능하거나, 전기비저항법 중 쌍극자 배열 적용시 자료획득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감독과 협의 탐사방법 및 전극배열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마) 전극의 배치는 목적에 맞게 설정하고 전극의 간격은 탐사하고자 하는 지반의 심도와 전극배열에 따라 적절히 선택 할 수 있수 있으며 사전에 감독과 협의하여야 한다. 바)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을 15cm이상 깊이로 지표면하에 설..

Bouwer and Rice 의 순간충격시험 방법, 비양수량으로부터 수리전도도의 추정, 복수 관정의 영향, 수리지질 경계 효과, 단일 관정 대수층 시험, 관측정을 사용한 대수층 시험

Bouwer and Rice 의 순간충격시험 방법, 비양수량으로부터 수리전도도의 추정, 복수 관정의 영향, 수리지질 경계 효과, 단일 관정 대수층 시험, 관측정을 사용한 대수층 시험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자유면 대수층에서의 비평형 흐름, 누수 압층의 경우 - Leaky confining layer

누수 압층의 경우 - Leaky confining layer- Theis 공식의 적용조건에서 “fully confined"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 즉, 대수층 상하부의 불투수층(?)으로부터 상당량의 지하수가 대수층으로 유입됨. 이때의 대수층을 반피압대수층(semi-confined aquifer)라고 함.--------------------------------------------------------------------------------------- 양수에 대한 자유면 대수층의 반응은 3단계로 구분된다: 1) 1단계: → 초기 수위하강은 대수층의 압축과 공극수의 팽창으로부터 물을 배출시킨다. → 이 기간에 대수층은 피압대수층과 같이 반응한다. → 지하수는 수평으로 이동하며, 대수층의 전체 ..

Darcy의 법칙과 수리특성 인자(비산출율, 공극율, 수리전도도)

비산출율 (Specific Yield; Sy)- 비산출율 … 포화된 매질의 총 체적에 대하여 중력에 의하여 배수되는 물의 체적비 비보유율(specific retention; Sr) … 매질에 잔류하는 물의 체적비 → 즉, 공극률 = 비산출율 + 비보유율 (n = Sy + Sr) - 비보유율은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커진다. (예) 점토는 약 50%의 공극률에 48%의 비보유율을 지니기도 한다.→ 2 %만 배수가능!☞ Fetter, p.74, 비산출율의 표  암석의 공극률1) 퇴적암 - 속성작용(disgenesis)에 의한 공극률의 변화: : 다짐(compaction), 첨가(addition), 치환(replacement), 광물의 상변화 - 쇄설성퇴적암: 3~30% - 침전암: 1~30% (석회암, 돌..

담수와 염수의 관계(Ghyben-Herzberg 공식)

염수     - 용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담수보다 밀도가 큰 물. 내륙지역의 광화수, 초생수(지층의 생성당시에 포획된 물), 해안․도서지역의 해수   - 담수와 염수의 경계면에는 염도의 점이적 변화대가 형성 → zone of diffusion (전이대; 분산대)  - 해안지역의 자유면 대수층에서의 담수-염수의 경계 부근에서 지하수의 유동은; → 담수는 해안선을 향하여 상향 → 염수는 순환류의 형태- 해안지역의 담수-염수 경계면에 대한 수학적 해석;  → 1828, J. DuCommun; 1888, W. Ghyben; 1901, A. Herzberg --------------염수 침입 (Salt-water Encroachment)----------------------… 담수와 염수의 경계면이 대수층..

지하수의 산출과 지층

1. 미고결 대수층1) 하상 충적층 - 하상퇴적물(자갈층), 자연제방(사력질), 범람원(실트, 점토질), 사주(사력질)- 2차원적(선형)으로 발달 … fluvial process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지구물리탐사를 통하여 사력층 추적; 시험시추로 확인 2) 계곡의 퇴적층  3) 빙하 퇴적층 - 광범위한 수리전도도의 변화가 특징- 빙퇴석층(till): K ≒ 1.5×10-7 ~ 6×10-8 cm/sec- 빙하 호수퇴적층(실트, 점토질) K ≒ 2×10-5 ~ 5×10-8 cm/sec- melt-water 하천 퇴적물: K ≒ 10-3 ~ 1 cm/sec 2. 화성암과 변성암- 일차공극이 거의 없으며, 지하수는 단층, 균열, 풍화대 등에서 산출된다.- 균열 생성 원인 : 덮개층의 제거에 의한 이완작용..

지하수면과 대수층, 투수량계수와 저류계수, 지하수 유동의 원리

1) 정의- 대수층(aquifer) … 충분한 양의 물을 관정에 공급하기에 적절한 투수성과 저장량을 지닌 지질 단위 … 미고결 사력층, 사암, 석회암과 돌로마이트, 용암층, 균열 심성암과 변성암...- 가압층(confining layer; 저투수층) … 매질의 투수성이 대단히 낮은 층 … 아주 느린 속도이지만 지하수가 흐른다... ※ aquifuge (비대수층) - absolutely impermeable unit aquitard (준대수층) - low permeability (예; 누수 가압층, leaky confining layer) aquiclude (난대수층) - 지하수계의 경계를 이루는 저투수층 → 최근에는 대부분 가압층과 누수 압층의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2) 종류① 자유면 대수층 … wat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