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지하수 126

수위 하강추, 지하수의 온도와 양수정의 문제점 - 산출량 감소, 대수층 시험

정호의 양수에 대한 대수층의 반응은 즉 양수가 시작되면 정호내 저장된 물이 제거되면서 수위가 낮아지기 시작하며 정호내의 수두는 주변 대수층의 수위보다 낮아지고 대수층의 물이 정호내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²양수가 계속되면서 정호내의 수위는 계속 낮아지며 정호 안으로 유입율은 양수율과 같아질때까지 낮아질것이다 ²대수층으로부터 정호내로의 지하수유입은 대수층내에 수위하강추(cone of depression) 를 형성하고 지하수가 모든 방향에서 정호로 집중하고 수리경사도는 정호에 근접하면서 커지게 된다 ²비피압면대수층에서 양수는 수위하강추가 형성되면서 지하수면이 하강하고 이에따라 대수층내의 물이 배출된다.²비피압면대수층의 저류계수(S)는 비산출율(Sr)과 같으므로 수위하강추는 서서히 확장될것이다 ²피압대수층의 양..

지하수개발 방법 변천사, 지표수보다 좋은 점, 제주도 지하수 개발

지하수란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지하수는 지표수보다 유용한 자원임, 그 이유는 1.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양호함 2. 수온이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함 3. 물 맛이 좋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 함유 4. 화학적 물질이 녹아있는 양이 비교적 일정함 5. 단기 기후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양이 항상 일정함 6. 방사능이나 생물학적 오염우려가 적음 7. 어느 지역에서나 비교적 쉽게 개발할 수 있음다시 법칙 V = K(h1-h2)/l*n, Q = AK(h1-h2)/l지하수 개발가능량지하수개발 연혁한국의 지하수개발 공법제주도 지하수개발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Darcy의 법칙과 수리특성 인자(비유출율, 수리전도도(투수계수), 수리전도도 측정)에 대하여

Henry Darcy … 프랑스의 토목기술자, 1856년 발표.      정수처리장의 모래여과지의 성능 개선에 관심이 있었음.Darcy의 실험은 모래를 통하여 물이 흐르는 법칙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암석종류별 공극율과 비산출율

비산출율 (Specific Yield; Sy)- 비산출율 … 포화된 매질의 총 체적에 대하여 중력에 의하여 배수되는 물의 체적비 비보유율(specific retention; Sr) … 매질에 잔류하는 물의 체적비 → 즉, 공극률 = 비산출율 + 비보유율 (n = Sy + Sr) - 비보유율은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커진다. (예) 점토는 약 50%의 공극률에 48%의 비보유율을 지니기도 한다.→ 2 %만 배수가능!☞ Fetter, p.74, 비산출율의 표  암석의 공극률1) 퇴적암 - 속성작용(disgenesis)에 의한 공극률의 변화: : 다짐(compaction), 첨가(addition), 치환(replacement), 광물의 상변화 - 쇄설성퇴적암: 3~30% - 침전암: 1~30% (석회암, 돌..

대수층의 특성(단위계, 공극율, 암석내의 공극 및 비산출율)에 관하여

1. 단위계 (Units) - 영국단위계 (English units) - SI 단위계 (SI units) - cgs, mks units 단위계의 표시 - 길이 L; 질량 M; 시간 T 2. 공극률 1) 정의… 암석이나 토양 등 매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공간의 비율② 분급(sorting)… 분급이 좋은 매질일수록 공극률이 크며, 크기가 다른 입자들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감소된다.→ 분급을 일으키는 과정; 바람, 물, 파도에 의한 작용→ 혼합을 일으키는 과정; 빙하작용, 산사태 등 ③ 입자의 형태(shape)… 구형일수록 촘촘하게 배열되고, 따라서 다른 형태보다 공극률이 작게 나타난다.→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입자들의 방향성도 공극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입도 분포(grain-size distr..

수문곡선의 분리(기저유출의 감쇠 및 기저유출로부터 지하수 함양량의 결정)에 대하여

수문곡선(hydrograph) …하천 유출량의 시간적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일반적으로 지표유출, 중간유출, 기저유출, 직접강수로 구성 1) 기저유출 감쇠 (baseflow recession)  - 유입량(강수)이 없는 상태에서, 하천 수문곡선의 유출량은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 이때의 유출량은 전적으로 지하수 저장량으로부터의 배출을 의미하며, - 지하수면이 낮아지고, 점점 더 지하수 배출량이 줄어든다. - 지하수의 충전이 없으면, 결국 하천의 기저유출은 0 이 된다. - 이를 기저유출의 감쇠라고 부른다. ․기저유출 감쇠는; - 유역의 수리-지형학적(hydromorphic) 특성으로, - 유역의 지형(topography), 수계(drainage pattern), 토양, 지질조건 등에 영향을 받는다..

하천과 지하수의 관계(하천유출 특성 및 이득하천과 손실하천)

1. 하천유출의 특성1) 지표 유출(Runoff)- 강수율(precipitation rate)이 침투율(infiltration rate)를 초과할 때 발생- Horton overland flow 라고 부름- 토양의 침투 용량(infiltration capacity)과 웅덩이 저수량(depression storage)을 초과하여야 지표 유출이 시작된다. 2) 중간 유출(Interflow)- 고투수성 불포화대층 하부에 저투수성 층이나 암반이 발달한 경우, 충진되는 물이 지하수면에 도달하기 전에 수평이동을 하는 흐름을 interflow 라고 부른다.- 지역적으로는 하천 유량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3) 기저 유출(base flow)- 하천으로 유출되는 지하수- 기저 유출량은 하천에서의 수리경사도에 비례..

증발과 강우량

1. 증발 (Evaporation) - 증발접시(land pan)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 (정밀수위변화 측정) - 물수지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 - 열수지 (heat budget)를 이용하여 추정 2. 증산 (Transpiration) - 식물(잎 표면의 기공)을 통한 수분의 이동 - 식물의 크기와 밀도, 토양수분함량의 함수 3. 증발산 (Evapo-Transpiration; ET) - 현장에서는 증발과 증산의 분리가 불가능 - Penman 방정식으로 추정 - 현장에서는 증발산계(lysimeter)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  ET = P + Si + I - Sf - D  ET = 증발산량; P = 강우량; Si = 초기 토양수분함량; Sf = 최종 토양수분함량; I = 증발산계에 가해진 관개수; D =..

지하수의 유동과 층리, 지하수의 유속, 투수도, 저류상수, 수위 하강추, 대수층 시험, 지하수의 온도, 양수정의 문제점 - 산출량 감소에 대하여

지하수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하수면 위치와 지하수유동방향을 알아야하고 이를위해서는 그 지역 고도나 정호내 지하수수위 높이를 결정하여야 한다. 지하수 유동방향은 대부분 지역에서 지표의 지형을 관찰함으로서 식별 할수가 있다. 지하수 이동을 일으키는 힘은 중력이고 자연상태에서 지하수는 언덕아래(경사하부)로 흐르게 되며 결국 샘물로 지표에 배출되거나 하천의 옆이나 바닥으로 스며들거나 연안으로 배출된다. 이때 지하수가 유입되는 하천을 유입하천이라고 한다포화대의 상부 즉 지표로부터 가까운 부분의 지하수는 하천이나 해안방향으로 흐르고 지표의 소규모 불규칙한 면들을 무시한다면 지표 경사 역시 하천이나 해안지역을 향해 발달되어 있음을 알수가 있다. 지하수면까지의 깊이는 하천 주변의 범람원보다 하천의 사이의 분기대..

지하수계의 역할, 수두와 수리경사도, 수리전도도, 대수층과 피압층, 포화대에서의 흐름과 분산에 대하여

공극내에 물을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과 물을 충진지역에서 배수지역으로 전하는 유동통로 역할이다.충진율은 일반적으로 단위시간에 단위면적을 통해 유입된 물의 량(부피)으로 나타내고 단위는 mm/Yr, inch/Yr 등이다미국의 사막지역에서는 0이고 롱아일랜드 교외에서는 600mm/Yr까지 확인되었다지하수가 충진지역에서 배수지역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대수층과 피압층의 수리전도도와 수리경사도에 영향을 받는다충진현상은 불포화대에서 물의 수직방향의 흐름, 즉 수리전도도가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방향으로 이동을 의미하며 반면 배수작용은 포화대에서 수평방향의 흐름 즉 수리전도도가 큰 방향으로 이동과 관계된다.지하수면의 깊이는 지표의 토지 이용이나, 비피압 대수층으로부터 지하수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지하수면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