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 813

지하수 유선망, 지하수 경계면 유형, 비포화대의 지하수, 지하수의 변동 등 수리지질학

비포화대의 지하수1) 토양수 (soil moisture)- 비포화대의 용어 … 불포화대, 통기대, unsaturated zone, zone of aeration, vadose zone- “ 정의 … 토양 수분이 장력(tension)을 받고 있는 영역- 장력(tension) … 지하수면 상부에서 유체의 압력이 음(-)으로 나타나는 경우- 장력을 측정하는 기구 → 장력계(tensiometer)- 세립질 매질에서는 지하수면 상부의 토양도 모세관대에 의하여 포화될 수 있다.    → 하지만, 역시 장력계에 의하면 음(-)의 압력을 보인다.    → 따라서, 모세관대 역시 비포화대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토양수대(soil-moisture zone)는 식물의 뿌리가 있는 깊이까지를 말한다.    → 비포화대가 이보..

증발과 강우량, 하천과 지하수, 대수층의 특성에 관하여

제2장 증발과 강우량1. 증발 (Evaporation) - 증발접시(land pan)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 (정밀수위변화 측정) - 물수지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 - 열수지 (heat budget)를 이용하여 추정2. 증산 (Transpiration) - 식물(잎 표면의 기공)을 통한 수분의 이동 - 식물의 크기와 밀도, 토양수분함량의 함수3. 증발산 (Evapo-Transpiration; ET) - 현장에서는 증발과 증산의 분리가 불가능 - Penman 방정식으로 추정 - 현장에서는 증발산계(lysimeter)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 ET = P + Si + I - Sf - D ET = 증발산량; P = 강우량; Si = 초기 토양수분함량; Sf = 최종 토양수분함량; I = 증발산계에 가해진 관개..

지구 기후계의 변화와 그 증거

1.지구의 기후계를 구성하는 몇 개의 하부계 : ① 기권, ②해양권, ③빙권, ④암석권, ⑤생물권 ­   -. 이들 하부계들의 상호작용 → 기후계에 영향 ­   -. 암석권을 제외한 모든 계의 에너지원: 태양에너지, ­   -. 공기, 해양, 지표면(세 개의 에너지 저장소) 중 기권이 외부 의 영향에 가장 빨리 반응(보통 1개월 이내)2. 기후변화의 지질학적 기록 1) 화석으로 기록된 증거들 2) 온대지방에서 발견되는 빙하의 흔적 3) 식생대를 덮고있는 사막 4) 지금은 말라버린 호소 및 하천의 흔적 5) 현 수목한계선 위에서의 삼림의 흔적 6) 현재의 기후와 일치하지 않는 토양의 분포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지구 시스템

-. 계(시스템) : 우리가 고려하는 우주의 일부분 1. 고립계(孤立系 : isolated system) 우주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고립되어 물질/에너지의 교환 혹은 이동이 없는 계 2. 폐쇄계(閉鎖系 : closed system) 주위의 환경과 에너지의 교환은 가능하나 물질의 교환은 일어나지 않는 계 3. 개방계(開放系 : open system) 주위의환경과 물질과 에너지의 교환이 가능한 계 -. 계의 성질을 나타내는 방법 1. 물질/에너지가 계에 들어가고 나오는 속도 2. 계내의 물질 혹은 에너지의 양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지구의 구성물질

-----지구의구성물질------ 1. 지구의화학조성   1) 자연계에서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92개 원소들로 구성   2) 8대 원소를 제외하면 다른 원소들의 합은 미량임 2. 원소들의 결합형태    1) 이온결합 (ionic bond) : 전기음성도의 차이가 큰 두 원소 사이    2) 공유결합 (covalent bond) : 결합력이 가장 크다    3) 금속결합 (metallic bond) : 자유전자가 존재    4) 반데르바알스결합 (Van der Waals bond) : 순간쌍극자    5) (수소결합 : hydrogen bond) : 영구쌍극자  -. 지각 구성물질(광물)들의 주요한 결합형태는 이온결합과 공유결합이다.3. 광물의 정의 : 자연계에서 산출되는,   무기적인 과정에 의하여 형성된..

움직이는 지구 : 판구조론

----판구조 운동의 몇 가지 증거들----1. 지형의 변화      - 해령, 해구의 형성      - 조산대의발달      - 단층의발달2. 지진활동대의 분포      - 환태평양지진대      - 판의 경계에서 멀어질 수 록 지진의 발생심도는 증가   3. 지진 천발지진 (0-70km의 심도) 중발지진 (70-300 km) 심발지진 (300 km 이상)    *. 지진이란 : 탄성반발설(elastic rebound theory)로 설명: 어떤 단층에 변형에너지가 서서히 축적되다가 암석의 파괴강도를 넘게되면 단층이 일어나면서 급격한 에너지의 방출이 일어나는 것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생물종의 출현 그 진화와 절멸

*. 생물종의 출현을 가능케 한 초기 유기분자는 어디에서 왔는가 ? 1923: 러시아의 Aleksandr Ivanovich Oparin 간단한 유기화합물은 암모니아(NH3), 메탄(CH4), 수증기(H2O) 및 수소(H)로 구성된 최초의 대기에서 번개나 태양의 자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하여 합성되었다는 가설 제시 1953: 미국의 Stanley Miller ­      -. 오파린의 가설을 증면하기위한 실험 성공 ­      -. 아미노산과 다른 단순한 화합물을 얻음 ­      -. 그후 같은 공정으로 DNA의 네염기중 하나인 아데닌, 단백질을 형성하는 주요한 아미노산 20여가지를 합성                       ↓ 그러나 초기 지구 대기의 주성분은 위와는 다름                 ..

결정면과 지수(결정의 투영)

결정은 하나의 입체이기 때문에 결정면간의 각도, 위치, 대칭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3차원적인 모든 특징을 2차원적인 평면상에 투영하여 연구하는 것이 편리하다.*. 투영의 종류 1. 구면투영 (球面投影 : Spherical Projection) : 구면투영은 결정을 3차원적으로 표현한 것이지만, 다른 투영법의 기본이 되는 투영이다.     -. 직접투영 (直接投影 : Direct Projection)     -. 역투영 (逆投影 : Reciprocal Projection) 2. 스테레오투영 (Stereographic Projection) 3. 노몬투영 (Gnomonic Projection)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결정면과 면지수(결정의 투영)

자연계에서 산출되는 여러 가지 결정들은 다양한 결정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 결정면들은 결정축을 절단하는 거리로 나타냄으로서 결정면을 표현한다.여기서 결정축이란 결정을 묘사하기 위해 결정의 외형이나 내부대칭을 3개 혹은 4개의 기본축의 한 단위로 언급한 것이다.단위면(unit face or parametral plane) : 결정학자들이 결정을 기재하기 위하여 면들을 뚜렷하게 구분할 표기법이 필요하였다. 세 결정축 모두를 자르는 면들 중 가장 큰 면을 결정의 단위면으로 정의하였다. 이 단위면은 결정축의 양의 방향으로 단위길이의 n계수 만큼의 길이로 세 결정축을 절단한다.------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환경영향평가법에 관하여

환경법의 생성 및 발전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환경문제는 제3공화국 정부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공업화를 추진하기 시작한 1960년대에 들어와서 시작되었다. 경제개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에 대처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1963년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법인 공해방지법이 제정되었다. 동 법은 “공장이나 사업장 또는 기계․기구의 조업으로 인해 야기되는 대기오염․하천오염․소음․진동으로 인한 보건위생상의 피해를 방지하여 국민보건의 향상을 기하는데” 그 구체적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공해방지법은 전문이 21개조에 불과하여 규제내용이 크게 미흡하였을 뿐 아니라, 동법 시행규칙이 1969년 7월에야 제정되는 등 후속입법이 미비하였고, 경제개발을 최..

응용지질학 2020.08.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