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증발과 강우량
1. 증발 (Evaporation)
- 증발접시(land pan)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 (정밀수위변화 측정)
- 물수지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
- 열수지 (heat budget)를 이용하여 추정
2. 증산 (Transpiration)
- 식물(잎 표면의 기공)을 통한 수분의 이동
- 식물의 크기와 밀도, 토양수분함량의 함수
3. 증발산 (Evapo-Transpiration; ET)
- 현장에서는 증발과 증산의 분리가 불가능
- Penman 방정식으로 추정
- 현장에서는 증발산계(lysimeter)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
ET = P + Si + I - Sf - D
ET = 증발산량; P = 강우량;
Si = 초기 토양수분함량; Sf = 최종 토양수분함량;
I = 증발산계에 가해진 관개수;
D = 증발산계로부터 토양으로 배수된 과잉수분
4. 강수 (Precipitation)
- 강우계/우량계로 직접 측정; 레이다를 이용 관측
- 기상청에서 시간별, 일별, 월별 자료집 발간
- 강설량을 측정하여 10%로 환산 추정
제3장 하천과 지하수의 관계
1. 하천유출의 특성
1) 지표 유출(Runoff)
- 강수율(precipitation rate)이 침투율(infiltration rate)를 초과할 때 발생
- Horton overland flow 라고 부름
- 토양의 침투 용량(infiltration capacity)과 웅덩이 저수량(depression storage)을 초과하여야 지표 유출이 시작된다.
2) 중간 유출(Interflow)
- 고투수성 불포화대층 하부에 저투수성 층이나 암반이 발달한 경우, 충진되는 물이 지하수면에 도달하기 전에 수평이동을 하는 흐름을 interflow 라고 부른다.
- 지역적으로는 하천 유량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3) 기저 유출(base flow)
- 하천으로 유출되는 지하수
- 기저 유출량은 하천에서의 수리경사도에 비례한다.
4) Throughflow
- 경사면의 토양에 침투한 물이 불포화대를 통해서 수평이동하여 경사면 하부에서 누출되는 흐름;
-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지표로 배출됨; (중간 유출은 하천으로 배출)
- 지표 유출과 구분하기 위하여 return flow 라고 부른다.
5) 하천 유량의 지역적 특성
건조기후 → 식생이 얇으며, 지표 유출이 하천유량을 좌우한다.
습윤기후 → 지표 유출은 중요하지 않으며, 중간 유출과 return flow, 하천에의 직접 강수가 중요하다.
얇은 토양과 완만한 사면지역 → 직접 강수와 return flow가 중간 유출 보다 중요하다.
경사가 급한 지역, 용암지대 → 중간유출이 더욱 중요하다.
제4장 대수층의 특성
1. 단위계 (Units)
- 영국단위계 (English units)
- SI 단위계 (SI units)
- cgs, mks units
2. 단위계의 표시
- 길이 L; 질량 M; 시간 T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 지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수면과 대수층, 투수량계수와 저류계수, 지하수 유동의 원리 (0) | 2020.08.29 |
---|---|
지하수 유선망, 지하수 경계면 유형, 비포화대의 지하수, 지하수의 변동 등 수리지질학 (0) | 2020.08.29 |
물의 순환, 물 부족에 대한 대처방안, 지하수 오염 등 (0) | 2020.08.28 |
TCE와 PCE 오염의 실체 (0) | 2020.08.25 |
맥반석수에 관하여 (2)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