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응용지질학

환경영향평가법에 관하여

고지중해 2020. 8. 28. 21:13
728x90
반응형

환경법의 생성 및 발전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환경문제는 제3공화국 정부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공업화를 추진하기 시작한 1960년대에 들어와서 시작되었다.

경제개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에 대처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1963년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법인 공해방지법이 제정되었다. 동 법은 공장이나 사업장 또는 기계기구의 조업으로 인해 야기되는 대기오염하천오염소음진동으로 인한 보건위생상의 피해를 방지하여 국민보건의 향상을 기하는데그 구체적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공해방지법은 전문이 21개조에 불과하여 규제내용이 크게 미흡하였을 뿐 아니라, 동법 시행규칙이 19697월에야 제정되는 등 후속입법이 미비하였고, 경제개발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하는 당시의 사회분위기 등으로 인하여 실효성을 거둘 수도 없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언론매체를 중심으로 국민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시작하면서 19711, 그동안 사문화(死文化)되다시피 한 공해방지법을 대폭 수정강화하여 배출허용기준, 배출시설설치허가제도, 이전명령제도 등을 도입하였다.

급속한 산업화도시화가 이루어지던 1970년대에는 환경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인식되었다. 때문에 소극적인 공해의 규제를 목적으로 하는 종래의 공해방지법 체계로는 다양하고 광역적인 환경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를 대체하는 환경보전법을 19771231일 제정공포하게 되었다. 환경보전법에서는 환경파괴 또는 환경오염의 사전예방 뿐 아니라 오염된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종합적으로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환경기준, 오염물질의 총량규제제도 등을 새로이 도입하였다.

 

종래의 공해방지법이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의 공해적 측면만을 대상으로 한데 비하여 환경보전법에서는 그 대상을 자연환경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환경문제와 사전 예방적 기능으로까지 확대하였다. 또한 공해방지법이 현재의 국민보건의 향상만을 목적으로 하였다면 환경보전법은 현재의 국민은 물론 장래의 세대까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환경권을 보장하고 있다.

1980년에 개정된 헌법에 환경권에 관한 규정이 처음으로 신설된 이후 산업화의 진전으로 인한 경제구조의 고도화로 환경문제가 심각화다양화되자, 오염분야별 대책법의 제정이 불가피하다는 인식하에 우리나라의 환경법은 복수법 체계로 이행하게 되었다.

, 199081일에 환경보전법이 환경정책기본법대기환경보전법수질환경보전법소음진동규제법유해화학물질관리법환경분쟁조정법 등 6개 법으로 분법화 되었던 것이다.

최근에는 독도를 비롯한 도서지역의 생물다양성과 수려한 경관을 보전하기 위한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한강수계의 수질개선을 위한 한강수계상수원수질개선및주민지원등에관한법률, 습지를 효율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한 습지보전법이 제정되었다. 또한, 1998228일 제1차 정부조직 개편에 의하여 자연공원법의 관장업무가 내무부에서 환경부로 이관되었고, 1999524일 제2차 정부조직 개편에 의하여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의 관장업무가 산림청에서 환경부로 이관됨에 따라 19998월 현재 환경부가 직접 관장하는 환경법은 총 30개에 이르게 되었다.

환경영향평가법.hwp
0.07MB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

'응용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석의 충돌  (0) 2020.08.30
지질학자와 토목공학자  (0) 2020.08.30
해양환경과 오염  (0) 2020.08.28
폐기물의 관리 처분  (0) 2020.08.28
토양과 토양 생성원인  (0) 2020.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