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지하수 124

깊은 우물용 수중모타펌프(양수원리)

1. 양수원리가. 원심펌프원심력을 이용한 원심펌프의 일종으로 다만 펌프와 모터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펌프모타를 가동한다. 펌프에 물을 채우고 펌프의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물은 임펠러 외경을 향해 흐르고 에너지가 부여되며 원심력으로 인해 결국에는 펌프 케이싱으로부터 토출관쪽으로 물이 나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나. 축류 및 사류펌프모터보트나 배는 프로펠러 모양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물을 후방으로 밀므로써 그 반력에 의해 배가 앞으로 나아간다. 만약에 모터보트나 배를 고정하고 스크류를 회전하게 되면 많은 물이 배 앞에서 뒤로 흐르게 된다. 이 프로펠러 작용을 이용한 것이 축류 펌프이다. 원통형의 펌프 내부에 프로펠러 형상을 가진 임펠러를 설치하여 펌프를 가동하면 물은 프로펠러의 ..

지하수 이용 펌프에 대하여

1. 펌프의 종류작동방식에 따른 펌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표 8.4 참조).가. 터어보형원심식 펌프와 축류식 펌프와 같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서 유체에 운동 및 압력에너지를 부여하고 이를 압축시켜 송출한다. 상수도에서는 터어보형이 원수 취수 및 정수가압용 펌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나. 용적형왕복식 펌프, 회전식 펌프와 같이 유체를 일정한 용적으로 흡입 압축시킨다. 정수장에서 정량 약품 주입을 위해 사용하는 액체황산반토, 차아염소산 나트륨(차아염소산 소오다), 가성소오다 주입용 펌프는 대부분 용적형이다. 다. 특수형 펌프마찰펌프, 제트펌프, 기포펌프, 수격펌프 등이 있으며 상수도에서 이용되는 특수형 펌프는 마찰펌프이다. 마찰펌프는 일반적으로 자동펌프로 시판되어 주로 가정용 우물 펌프나 소규모 정수장의..

우물(관정)의 설계 및 시공

우물의 설계 및 시공1. 우물 설계시 기본적인 고려 사항가. 대수층의 특성에 맞는 양수설비로 적정량을 양수하여야 한다.나. 우물의 효용성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다. 양질의 지하수를 생산하고 오염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라. 최소 경비로 설치하되 수명이 길어야 한다.2. 관련자료 수집설치 대상 지점 인근의 기존 우물로부터 예상 산출량, 대수층의 심도, 대수층의 종류, 수리지질학적 특성, 지하수질 등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야 한다. 수집 자료를 토대로 전기탐사 등 물리탐사를 실시하여 대수층 발달 구간을 예측하고 지하수 영향조사를 위한 시험정을 굴착, 정밀조사를 실시하며 필요시 관측공을 굴착한다. 한편, 굴착된 시험정은 영향조사가 완료된 이후 취수정으로 활용 가능하다.3. 굴착 구경 및 심도 선택우물 개발의 ..

우리나라 지하수 수질현황

지하수 수질현황현재 지하수 수질에 관한 자료로는 지하수개발․이용자가 수질검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한 정기수질검사 결과 자료와 환경부에서 전국적으로 오염우심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수질현황과 장기적 수질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한 수질측정망 자료 및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수질검사 자료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수 수질조사는 측정지점이 주로 오염우려지역에 편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수질기준 초과 여부에 초점을 두어 조사가 이루어진 관계로 전반적인 수질특성 파악과 오염지시항목 등 주요 성분의 함량 변화 추세 분석은 곤란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절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지하수의 전반적인 수질 현황을 간략히 살펴보았으며, 보다 상세한 사항은 “6. 지하수 수질관리 및 정화계획”에 ..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 현황

지하수 수위 현황국가 지하수관측망의 2000년 관측자료를 토대로 전국적인 지하수 수위현황을 분석하였다. 2000년말 현재 설치․운영중인 국가 지하수관측소는 총 154개소로서, 이중 2000년중 이전한 의정부신곡관측소와 정읍옹동관측소의 2개 관측소를 제외한 152개 국가 지하수관측소의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충적층지하수 관측정(87개)과 암반지하수 관측정(152개)으로 구분하여 지하수위의 개략적인 분포현황을 분석하였다. 동 분석에서는 2000년도 연평균 자료와 아울러 갈수기를 대표하는 2월과 풍수기를 대표하는 8월의 월평균 자료를 도시하여 지하수위의 분포와 변화를 비교하였다.가. 지하수위 분포특성일반적으로 지하수위는 지형고도와 유사한 형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지하수위가 관측지점의 고도와 포화대의 압력에 의한 ..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수자원2.1.1. 수자원 현황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69~’98)은 내륙의 경우 1,271㎜이고, 제주도 등 주요 도서를 포함할 경우 1,283㎜이다. 이 양은 세계의 연평균 강수량 973㎜의 1.3배이나, 1인당 강수총량은 2,705㎥로 세계 평균 26,800㎥의 1/10 정도에 불과하다. 더욱이 강우가 계절적, 지역적으로 편중되며, 경사가 급한 산악지형의 특성으로 계절적 하천 유량 변동이 매우 커 수자원 관리에 불리한 자연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강수량의 경년 변화를 보면, 갈수년인 1939년에는 754㎜에서 풍수년인 1998년에는 1,782㎜까지 그 변동폭이 2.4배에 달할 정도로 크다. 계절별로는 연강수량의 2/3가 홍수기인 6~9월의 장마와 태풍기간에 집중되고, 갈수기인 11월부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