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지질학 230

토양 생성 속도, 고토양, 토양침식과 간접적인 영향 등에 관하여

-토양의 생성속도 비록 토양의 생성은 화학적 풍화작용의 복잡한 과정의 일부이나 토양 생성과 풍화작용은 같은 것이 아니다. 화학적 풍화작용은 주로 기반암의 분해에 관계되지만 아주 긴 시간이 필요한 작용이다. 표토내의 토양단면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훨씬 짧을 수 있다 토양 단면은 어느 황경에서는 빠르게 생성될 수 있다. 남부 알래스카 글레이숴만 지역의 연구는 후퇴하는 빙하가 지표에 노출된 풍화되지 않은 모질물을 남길 때, 토양이 어떻게 발달되는가를 보여준다. 빙하가 후퇴하기 시작한 후, 수년 내로 A층이 새로 노출되고 다시 식물이 자란 지역에 발달된다(그림5.21). 이 지역에서 보통의 기온과 높은 강수량은 탄산염이 많은 빙하 퇴적물인 모질물의 매우 바른 용해를 가져온다. 식물이 점점 조밀하게 덮여짐..

토양(단면, 형태, 극-온대지방 토양, 사막과 열대토양)생성

-기원풍화작용에 의한 암석의 물리적 파괴와 화학적 분해는 토양형성의 초기 단계이다. 그러나 토양에는 또한 광물과 유기물이 포함된다. 토양(soil),은 뿌리를 가진 식물을 지지할 수 있는 표토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토양에는 유기물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토양내의 유기물은 죽은 식물과 동물의 분해로부터 유래한다. 살아있는 식물은 유기체의 분해와 광물질의 풍화 시 방출되는 영양염류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식물은 이들 영양염류를 뿌리를 통해 수용액 상태로 위로 끌어 올린다. 그러므로 그들의 생체순환에서 식물은 미래의 식물세대를 먹여 살릴 비료 제조에 직접 참여한다. 이런 활동은 표토와 생물권 사이에 있는 영양염류의 계속적인 순환의 중요한 부분이다. 부분적으로 광물이면서 또한 부분적으로 유기물 성분인 토..

풍화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암석의 종류와 구조서로 다른 광물든은 풍화작용에 서로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암석의 종류는 분명히 분해에 영향을 미침에 틀림없다. 석영은 화학적 분해에 강하기 때문에 석영이 많은 암석도 역시 분해에 강하다. 미국 애팔래치아 산맥에서 저항성이 강한 규암층은, 석영이 적어 침식이 보다 잘되는 암석으로 되어 있는 계곡 위에 우뚝 솟은 돌출부를 형성한다. 화강암도 또한 풍화에 강하다. 왜냐하면 화학적 풍화에 강한 광물(석영, 백운모, 정장석)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그림5.9). 규암과 같이 화강암도 전형적으로 언덕이나 산맥지역을 형성한다. 풍화의 속도는 조직과 구조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전적으로 석영만으로 된 암석이라 할지라도 만일 그 암석에 절 리가 밀집되어 분포하거나 동결작용에 민감한 다른 틈이 있..

화학적인 풍화(가수분해, 용탈작용, 산화작용, 용해작용 등)와 안정 광물의 집적, 풍화테, 박리작용과 구상풍화작용 등에 관하여

화학적 풍화작용: 일반적인 조암광물은 모두 그리고 조암광물이든지 아니든지 대부분의 광물은 지표에서 풍화에 노출되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다. 이런 광물은 부서져서 새롭고 보다 더 안정된 광물로 된다. 아주 드물게 몇몇 광물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나 금 같은 광물은 화학적 풍화작용에 더 오래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지표에서 수억년 동안 존재할 수 있다. 이런 광물은 아주 드문 예에 속한다. 화학적 풍화작용에서 주된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은 약산처럼 행동하는 수용액이다. 화학적 풍화작용의 효과는 화학반응을 증진시키는 강수량이 많고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조암광물의 화학적 풍화작용빗물이 대기를 통과하여 떨어지면 빗물은 약간의 CO2를 용해시켜 탄산을 만든다. 약산선인 물이 토양속으로 스며들어..

풍화작용(절리 발달, 결정의 성장, 동결쐐기작용, 열의 효과, 식물 뿌리)에 대하여

대기에 노출될때에 암석은 모두(기반암이든 암석구조물이든 상관없이), 공기, 습기, 그리고 유기물에 의해 암석과 표토의 화학적 변질작용과 기계적 파괴작용인 풍화작용(Weathering)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수가 없다. 그림5.1은 고화되지 않고 무짌하게 배열된 흙으로 된 표토는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기반암의 조직이 변질되었으나 여전히 잘 배열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그 아래는 변질되지 않은 기반암이 나타나기 때문에 더 이상 아래로 점이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그림5.1은 기반암을 자세히 살펴보면 노두의 아래쪽에서 장석입자들의 벽개면은 밝고 반짝거리는데 비하여 위쪽에서 이들 면들은 광택이 없고 얼룩져있다. 노두 꼭대기부분에서 부드러운 점토광물은 더 이상 이전의 장석을 닮지 않고 장석은 심하게 변질되어 있다...

퇴적작용과 구조운동

퇴적작용을 일으키는 에너지는 궁극적으로 지구의 주된 에너지원인 지구 내부의 열과 태양으로부터 나온다. 지구 내부 열에너지는 육지의 융기를 포함하여 매우 움직이기 쉬운 암석권의 운동을 일으키며, 판구조운동을 일으키는 에너지의 궁극적인 기원이 된다. 융기 지역에서 암석의 풍화와 침식에 의해 생성된 퇴적물은 중력 작용의 결과로 해수면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바다의 퇴적분지에 이른다. 하천, 빙하, 바다의 파도와 해류를 포함하는 퇴적물의 주요 운반수단들은 모두 태양 복사에서 에너지를 얻은 물의 순환의 한 부분이다. 퇴적속도는 활동적인 구조 활동으로 융기되는 지역의 주변부에서 빠르며, 상대적으로 안정한 대륙 내부에서는 훨씬 늦어져, 육성 퇴적물의 기원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심해지역에서는 더욱 늦어진다..

저탁류와 저탁암

육성 기원의 조립질 퇴적물로 된 두꺼운 퇴적체는 깊게는 수심 5km 아래의 대륙사면 발치 부근에서 발견된다. 바다 매우 깊은 곳에서 발견되는 이런 조립질 퇴적물의 기원은, 해양 지질학자들이 이 퇴적물이 저탁류(turbidity current)에 의해 퇴적될 수 있는 사실을 보여주기 전에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저탁류는 퇴적물이 물에 희석된 혼합물로 주위의 물보다 큰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움직이는 흐름이다. 이런 흐름은 실험실에서 물과 실트, 그리고 점토입자를 섞은 빽빽한 혼합물을 채운 탱크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 저탁류가 호수와 저수지 바닥을 따라 이동한다는 사실도 알려졌다(그림6.26). 바다에서 저탁류는 지진, 사태 또는 대규모의 해안 폭풍에 의해 시작된다. 강 하구의 바깥쪽에서는 저탁..

퇴적상

우리사 어떤 퇴적암층을 조사할 때 한 층에서 시작하여 그 상부의 층들을 순서대로 관찰해 보면 각 층들 사이에서 어떤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차이점은 어떤 특정한 장소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난 퇴적조건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만약 퇴적암층에서 어느 한 층을 잡아 수평으로 추적해 보면 횡적 변화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퇴적층은 그 퇴적물이 쌓이는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횡적 특성이 변화한다. 대륙의 가장자리에서 인접한 해양분지에 이르는 지역을 가로질러 살펴보면 다양한 퇴적환경을 접할 수 있다(그림 6.21). 각각의 퇴적환경은 그 퇴적 환경 고유의 퇴적물과 함께 그 퇴적 환경을 지시하는 특징 있는 화석의 산출로 구분이 가능하다. 각각의 퇴적환경을 유추해 보기 위하여 우리는 고..

층리면위에 나타나는 특징들

퇴적상과 퇴적환경 역사책이 문명이 변화 양상과 과정을 기록하듯, 퇴적암은 우리 지구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역사책 한 장 한 장이 문명화의 기록을 보여주는 것처럼, 퇴적층들은 지구 표면의 변화하는 환경의 양상과 30억년이 넘는 생명체의 진화 과정을 보여준다. 만약 우리가 이를 읽는 방법을 배운다면, 퇴적암은 우리가 시간을 거슬러 여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 지구가 오랜 시간 동안 진화해 온 생동의 역사를 보여줄 것이다.  퇴적암내에 나타나는 환경을 지시하는 단서들 우리는 이미, 퇴적물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입자들의 배열 양상과 함께 퇴적층의 기하학적 형태가 퇴적물이 쌓인 지질 환경을 암시하는 증거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런 단서들과 아래의 설명할 몇몇 다른 증거들은 과거의 바다, 해변, 호..

생물기원의 퇴적암

생물기원의 퇴적암은 생물기원의 퇴적물 또는 높은 유기물 함량을 가진 퇴적물이 굳어져 생성된다.  석회암과 백운암석회암은 생물 기원의 암석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지각 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많은 부분을 축척하고 있는 저장고라 할 수 있다. 만약 이 이산화탄소가 이런 이유로 해서 석회암으로부터 방출되는 일이 생긴다면, 대기의 조성을 크게 바꾸고, 지구의 표면 온도를 엄청나게 높이는 결과를 불러올 것이다. 석회암은 주로 방해석 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방해석 광물이 백운석(dolomite) 광물로 치환되어 생긴 암석을 백운암(dolostone)이라고 한다. 석회암과 백운암은 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서로 비슷하여 쉽게 구분되지 않는다. 생쇄설성 석회암은 탄산염 광물의 골격을 가진 해양 생물의 단단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