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 813

온천공의 물리검층[온도검층, 자연감마선검층, 전기전도도검층, 전기검층][공내의 지온경사, 굴착 심도 확인, 대수층 구간 파악, 케이싱 등 well design 파악 등을 목적]

- 공내의 지질상황 판단은 시추할 때에 회수되는 암석의 코아를 감정함으로써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코아가 없을 경우 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를 감정하게 되는데 이들 방법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은 물리검층이다. 이 물리검층의 방법에 는 온도검층, 자연감마선검층, 전기전도도검층, 전기검층 등이 있다.- 목적 : 공내의 지온경사, 굴착 심도 확인, 대수층 구간 파악, 케이싱 등 well design 파악 등을 목적으로 한다.- 내용 : 온도검층을 포함한 2 가지 이상의 물리검층을 실시한다.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출처: https://tethys5984.tistory.com/441

온천 조사의 종류와 내역[신규 온천공 조사, 온천자원평가조사(신규), 2개 이상의 온천공간 영향평가, 정기온천자원조사, 온천부존 조사, 온천시추조사]

• 신규 온천공 조사– 온천발견신고가 된 굴착공에 대한 최초 온천공 검사 – 온천공보호구역을 위한 조사• 온천자원평가조사(신규)– 신규 온천공과 2개 보조공을 동시에 조사 – 온천원보호지구를 위한 조사§ 온천공 영향조사 •2개 이상의 온천공간 영향평가 •보조공의 경우 영향만큼 적정양수량을 조절 •타인이 개발한 신규공인 경우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여 2% 이상인 경우 폐공§ 정기온천자원조사 • 기존 온천원보호지구(온천공보호구역)에서 매 5년마다 실시되는 모든 공에 대한 조사온천부존 조사• 1-1. 지형 및 수계조사 – 온천공을 굴착할 지역에 대한 지형, 수계, 굴착공 위치, 및 수계 범위에 대한 조사 • 1-2. 지질 및 지질구조조사 – 조사지역에 대한 암석분포, 생성연대 및 지질구조에 대한 조사 • 1-3..

우리나라 온천수 성분과 수질유형[전국적인 수질특징과 유형, 각 시도별 온천수 특징과 수질유형]

ㅁ 온천수는 지하수의 순환에 따라 지하로 들어간 물이 지하 심부까지 침투하여 심부 열원과 만나 열 혹은 화학 성분을 공급받아 상승 ㅁ 상승 과정에서 심부의 열수가 식기전에 지표로 나오면 온천이 되며, 열을 빼앗기고 당초의 화학성분만을 갖는 것은 광천에 해당 ㅁ 지하수나 온천수와 같은 자연수는 양이온(cation)의 Na, K, Ca, Mg 및 음이온(anion)의 Cl, SO4, HCO3, CO3의 8 가지 성분이 그들 용존성분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함우리나라 전국적 수질 유형§ TDS가 높은 온천은 주로 해수에 의한 영향 – 부산, 인천, 강원, 전남, 제주 등 § TDS가 낮은 온천은 지하수와 특별한 구분이 없음 – 서울,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충북, 충남, 전북, 경북, 경남 § TDS..

우리나라 온천의 현황[시도별 온천수, 연간 이용인원, 온천공 온도별 분류, 시도별 적정양수량 및 이용허가량, 시도별 굴착심도별 온천공]

□ 2011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온천원보호지구, 온천공보호구역 및 온천공신고수리 건수는 449개소임 □ 시도별 온천이 가장 많이 개발된 곳은 경북으로 94개소이며, 가장 적은 곳은 대전으로 1개소임 □ 우리나라의 온천 이용업소수는 총 537개소이며 충남이 91개소로 가장 많고, 인천이 1개소로 가장 적음□ 2011년 현재 연간 온천 이용인원은 약 57,238천명임 □ 시도별 이용인원은 충남이 11,636천명으로 가장 많으며, 인천이 47천명으로 가장 적음 □ 온천수 온도별 분포비율을 보면 부산이 40도 이상의 온천공이 약 50%로 높은 온도의 온천공 비율이 높 으며, 대전, 경남, 충남 등이 높은 온도를 보이고 있음□ 시도별 온천수 적정양수량은 경북이 59,040톤/일로 가장 많으며, 강원 충남,..

온천의 분류(기원) [화산성온천, 비화산성 온천, 잔류마그마형(균열성) 온천, 심부 지하수형 온천, 보양온천 지정 기준]

화산성 온천 •화산의 분포지역 및 지판의 경계부에 온천이 분포비화산성 온천 •화산활동이 일어나지 않는 대륙의 내부에서 발견되는 온천우리나라의 경우 판경계와 떨어진 안정한 대륙 → 비화산성 온천에 속함비화산성 온천의 분류심부지하수형 온천 : 심부지하수형 온천이란 지온구배에 따라서 상승하는 지온에 의해서 지하수가 데워져서 만들어진 온천(25∼30℃에 해당)잔류마그마형(균열성) 온천 - 잔류마그마형 온천은 비교적 신기(중생대∼신생대)의 화성 활동과 관련된 심성암 관입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지 역보다 지열이 높은 곳에서 나타남 - 암맥군과 관련 - 투수성이 높은 지질구조대가 지하 심부 수km까지 발달된 곳과 관련균열성 온천- 심도별 온도 : 평균적인 지온 상승율보다 높은 상승율을 보임 균열성 온천의 특징특..

수리지질특성 설명(공극률, 비산출률, 비보유률, 저류계수, 비저류계수, 수리전도도, 투수량계수, 간극비, 기타 인자)

더보기공극률(Porosity)1. 공극률(Porosity)시료의 전체적에 대한 시료내의 전공간 및 틈의 체적과의 비. 즉,토양부피에 대한 전공극의 비율(참조, 공극비 : 공극의 체적과 고체의 체적과의 비)n = Vv/V       V : 흙의 전체부피(㎤),       Vv : 공극의 부피(㎤)더보기비산출률(비수율 Specific Yield)2. 비산출률(비수율 Specific Yield)매체의 총체적에 대해 중력에 의해 배출 가능한 물의 총체적의 비. 즉 단위수두강하에 의해 단위면적을 통하여 산출되는 물의 부피이다.자유면대수층에서 적용하는 개념이며 유효공극률 또는 비피압저류계수라고도 한다.Sy = Vw/Vt       Vw : 중력배수에 의해 추출가능한 지하수량(체적),      Vt : 대수층 전체부..

지표에서 열린 지하수 오염의 고속도로

보호공 홍보자료.hwp지하수시설물에 대해 보호공설치를 지원하여 농어촌지역의 고객요구에 부응하는 사회공헌활동과 깨끗한 지하수의 이용이라는 대국민 홍보에 앞장서실 업체, 지자체나 개인을 찾고 있읍니다.지하수의 공개념 도입, 수질오염방지 등 보전․관리 사업으로 대국민 홍보 및 계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한번 오염되면 도리킬수 없는 우물의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나 일부 우물은 하늘을 향해 입을 벌린 상태로 있어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지하수는 우리 후대에 물려줄 가장 소중한 공공의 자원이나 최근 지하수 이용이 증가하면서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과 지하수 폐공의 무책임한 방치로 인해 지하수의 오염이 심화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특히 하늘을 향해 열린 지하수 개발공은 지하수 오염의 고속도로라..

운석의 역사, 합천 운석 충돌구, 45억 년 된 운석, 암석형 행성 초기 역사 규명, 운석(지구상의 물 추적 가능)

더보기우리나라 운석의 역사삼국사기와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에는 우리나라에 무려 4천 건이 넘는 유성과 운석이 떨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대영박물관 운석연감에는 1900년 이후에도 한반도에 4차례나 운석이 떨어졌다고 기록돼 있습니다.이 중 유일하게 실물이 남아 있는 것이 지난 1943년 전남 고흥에 떨어진 두원운석입니다.떨어지면서 표면이 새까맣게 그을린 흔적이 아직도 생생합니다.[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박사 : 총 4회의 운석 충돌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 중에서 두원운석만이 실체가 확인된 운석이고, 현재 지질박물관에서 그 실물을 보관하고 있습니다.]두원운석이 땅으로 떨어질 때의 기록에는 매우 큰 소리와 함께 하늘에서 불덩어리가 떨어지는 것처럼 보였다는 증언이 남아 있습니다. ..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자연 비탈면 또는 산지 재해위험도 평가서, 인공 비탈면 재해위험도 평가서, 옹벽 및 축대 재해위험도 평가서]

주요내용 재해위험도 평가는 담당공무원과 관계전문가가 자연 비탈면 인공 비탈면 산지에 대하여 다음의 재해위험도 평가표 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다만 필요할 경우 전문가가 직접 사면안정성 및 평사투영도 해석 등 기술 적인 분석을 활용한 구체적인 재해위험도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재해위험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재해위험도 등급은 등급 으로 구분하고 등급에 대해서는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 관리한다다만 등급 중 재해위험도 평가점수가 점 이상이고 붕괴 시 인명피해 우려가 있어 지속적인 점검 등이 필요한 지역은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 관리 할 수 있다 등급별 평가점수 및 내용을 다음과 같이 한ek.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출처: https://te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