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캠브리아기
선캄브리아시대 변성암류는 경기편마암복합체, 서산층군, 춘천누층군, 반상변정질편마암,
화강편마암, 연천층군으로 나누어진다. 경기편마암복합체는 미그마타이트질편마암, 호상편마암,
편암류, 함석류석화강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우백질편마암, 서산층군은 편암류와 태안층,
춘천누층군은 편마암류와 편암류로 구성된다. 경기편마암복합체, 서산층군, 춘천누층군, 연천
층군은 규암과 석회암을 협재하고 있으며, 반상변정질편마암과 화강편마암에 의해 관입되어
있다.
시대미상
시대미상의 암석은 각섬암과 양평화성암복합체로 구분되는데, 각섬암은 편마암과 편암 내에
맥상이나 암주상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양평화성암복합체는 경기편마암복합체를 관입하는
타원형 암주로써, 반려암, 섬록암과 반상몬조니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생대
중생대 퇴적층으로는 쥐라기 대동누층군(적성층과 통진층)과 백악기 경상누층군(초평층군과
화산암류)이 일부 분포한다.
- 적성층은 임진강 단층을 따라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탄질셰일, 적색셰일,
암회색 사암, 역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진층은 주로 녹회색의 사암과 적색~흑색셰일이
호층을 이루고 있으며, 일부 규암층을 따라 탄질셰일이 확인된다.
- 초평층군 내 문수산층은 셰일, 사암, 역질사암 및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립질 사암이나
이암층이 렌즈상으로 협재되기도 하며, 대동누층군의 통진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 화산암류는 연천층군 편암류와 대보화강암류를 타원형의 암주상으로 관입하고 있으며,
현무암질암, 안산암질암, 화강반암, 중성-산성 응회암질암으로 구성된다.
관입암류로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화강편마암, 쥐라기 대보화강암류, 백악기 불국사화강암
류로 구분된다. 대보화강암류는 섬장암, 반려암, 화강암으로 구분되며, 이 중 화강암이 대규모의
저반상으로 발달한다. 불국사화강암류로는 화강반암과 산성암맥이 분포하고 있으며, 화강
반암은 선캄브리아시대 호상편마암과 우백질편마암, 쥐라기 대보화강암류를 소규모의 암주상으로
관입하고 있다.
신생대
신생대의 암석은 제4기에 형성된 현무암, 충적층과 매립지로 구성된다. 한탄강을 따라 국지적
으로 분포하는 현무암은 평강 오리산 일원에서 분출한 용암이 흘러 형성되었으며, 주상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충적층은 하천을 따라 길고 복잡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일부
매립지가 확인된다
'응용지질학 > 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지질(충청북도) (0) | 2021.03.21 |
---|---|
한국의 지질(충청남도) (0) | 2021.03.21 |
한국의 지질(경상북도) (0) | 2021.03.21 |
한국의 지질(서부 경남) (1) | 2021.03.21 |
한국의 지질(동부 경남) (0) | 2021.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