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응용지질학/지질학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빙하 황토와 화산재

고지중해 2020. 9. 19. 21:33
728x90
반응형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빙하 황토

빙하 기원의 황토는 북아메리카의 중부지방(특히 네브라스카, 사우스다코다, 이아오와, 미주리, 일리노이)과 동부 중앙 유럽(특히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 공화국, 슬로바키아)에 널리 퍼져있다. 그것은 2개의 특징적인 양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그 입자들의 형태와 성분은 빙하의 연마 작용에 의해 생성된 세립 퇴적물의 형태와 성분을 닮았다.

둘째, 빙하 황토는, 예를 들면, 황토 퇴적물에서 실트의 주된 근원인 북아메리카의 미시시피와 미주리 강과 유럽의 라인강과 다뉴브강과 같은 이 전의 대규모 망상 해빙 하천으로부터 내리바람 쪽으로 가장 두껍다. 대규모 플라이스토세 대륙빙하의 주변부 밖의 지역이 아주 춥고 바람이 많아서 항상 위치가 변하는 해빙 하천의 범람원이 쉽게 풍반 작용을 받았다고 추측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주로 식물이 자라지 않고 맨땅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중부에서 바람에 의해 날린 가장 조립질 부분의 퇴적물은 근원계곡 가까운 곳에 쌓여 8-30m두께의 퇴적체를 형성한다(그림13.20). 퇴적물 근원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하는 내리바람 쪽으로 황토의 두께와 평균 입도는 점차 감소한다.

그림 13.20 미국 중부의 황토
미국 중부의 미시시피 계곡의 황토 퇴적층.
황토는 연속적인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미국 북부로 유입된 대륙빙하의 한계를 넘어 주로 발견된다.
가장 두꺼운 황토는 빙하 주변부로부터 퇴적물이 함유된 녹은 물을 운반하는 주 하천의 경로 부근에 분포한다.
황토는 때때로 황토를 퇴적시키는 탁월풍이 주로 서쪽과 북서쪽에서 불었던 것이 확실함을 나타내 보이면서 강의 근원지로부터 내리바람 쪽으로 그 두께가 감소한다.

-해양 퇴적물과 빙하 내의 먼지

해양 위로 날린 먼지는 떨어져서 그것이 심해 퇴적물의 중요한 성분을 형성하는 해저면에 가라앉는다. 심해 이토의 광물 성분과 화학성분을 연구함으로써 알려진 풍성 먼지의 깃털형태의 퇴적체는 중국으로부터 북태평양을 지나 동쪽으로, 아프리카로부터 아열대 북대서양을 지나 서쪽으로,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인도양의 서쪽으로 분포한다(그림13.21).

아시아 사막으로부터 풍반된 세립의 석영입자들은 하와이 섬들의 토양에서도 발견되었다. 사하라로부터 날아온 붉은 먼지는 대서양에 잇는 배의 갑판에 떨어져 쌓이고, 알프스의 빙하 위에 퇴적되며, 카리브해 섬들의 토양에서도 발견되었다.

바람에 날린 먼지는 극지방의 빙상과 저위도 산록 빙하를 뚫고 시추한 시추 표품에서 발견되었다. 빙하 시대에 먼지의 낙하 속도가 빠른 것은 대륙의 건조 기후 조건과 강한 바람과 관계가 있고, 이런 건조한 조건과 강한 바람이 있는 경우 사막 낮은 지대와 활발한 융빙유수평원으로부터 세립질 퇴적물이 바람에 날려 침식된다.

그림 13.21 해저의 풍상 먼지
심해 코어에서 식별된 석영의 세립질 입자와 고령토는 아시아, 오스트레일라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그리고 남아메리카의 사막으로부터 유래된 바람에 날린 먼지 분포의 범위를 한정한다. 깃털 모양 분포형태에서 진한 부분은 이들 광물의 가장 높은 농도대를 보여주며, 따라서 사막지역으로부터 부는 바람의 주된 경로임을 보여준다.

-화산재

바람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은 모두가 풍반 작용에 의해 기원된 것만은 아니다. 화산 폭발시 많은 양의 화산 쇄설물이 대기권으로 유입될 수 있다. 비록 조립질의 무거운 입자들은 화도로부터 내리바람 쪽으로 곧바로 떨어지지만 작은 입자들은 먼 거리까지 운반될 수 있다. 성층권에 도달한 세립질 의 재는 그것이 최종적으로 지면에 떨어지기 전까지 지구를 수차례 순환할 수 있다.

화산 폭발시 낙하하는 입자는 분출화산으로부터 내리바람 쪽으로 입자의 크기와 두께가감소하는 길쭉한 깃털모양의 퇴적체를 형성한다(그림13.22). 선사 시대 화산재의 그런 깃털 모양의 층들은 지질학자들로 하여금 과거 화산 분출시 우세했던 바람의 경로를 재현하게 했다. 비록 화산재 퇴적물이 황토를 닮았고, 심지어 황토와 교호하지만, 특징적인 화성암의 광물 성분과 화산 유리의 작은 입자들은 화산 쇄설층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그림 13.22 풍성 화산퇴적물
4000년 전 아이스란드 헤클라 화산으로부터 분출된 선사 시대의 화산쇄설물층의 분초가 등층후도에 제시되어 있다. 등층후선은 퇴적물의 두께가 같은 선이며 화산 쇄설물이 화산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급속히 얇아짐을 보인다. 화산분출시 탁월풍의 방향을 지시하는 화산쇄설물의 주된 분포방향은 북쪽과 북동쪽으로 뻗어 있다.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