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침식작용
바람이 강하고 지속적이며, 땅이 너무 건조하여 식물을 지탱할 수 없는 곳이거나 공중부유 퇴적물의 유입이 너무 빨라 식물이 기반을 유지할 수 없고, 지면을 안정시킬 수 없는 곳은 어느 곳이나 바람이 중요한 침식작용의 원인이다. 기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침식작용을 일으킨다. 풍반작용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암석파편, 모래, 먼지를 바람에 의해 들어 올려 제거하는 것이다. 이 작용은 대부분의 바람의 짐을 제공한다. 둘째 작용인 마모작용은 바람에 날린 퇴적물 입자에 의해 충격이 일어날 때 있게 된다.
-풍반작용
대규모적인 풍반 작용은 식물이 없거나 거의 없는 곳에만 존재하고 거정되어 잇지 않은 암석 입자들이 바람에 의해 들어 올려질 만큼 충분히 세립질인 곳에서 일어난다. 중요한 풍반작용 지역은 사막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고 풍반 작용이 일어나는 비사막 지역은 해빈, 큰 호수의 연안, 대규모 빙하퇴적물의 범람원이 있다(그림13.8). 그러나 가장 큰 경제적 중요성은 농장 지대에서 맨 땅으로 드러난 경작지의 풍반 작용이나 땅이 일구어질 때 풍반작용은 계절적으로 일어날 수 있지만, 풍반작용은 습기가 없어서 토양 입자를 함께 붙잡아 둘 수 없는 가뭄 때에 특히 심하다
그림 13.8 빙하 퇴적물의 풍반작용 뉴질랜드의 남부 알프스 타스만 빙하로부터 흘러내려서 녹은 퇴적물의 활발한 풍반 작용이 먼지 구름을 만든다. 황토는 전면바닥에 있는 식물로 덥힌 빙하 퇴적물 위에 퇴적되고 있다. |
![]() |
일반적으로 풍반작용은 지표를 서서히 그리고 불규칙적으로 낮게 하면서 바람의 침식 작용의 측정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1930년대에 건조한 미국 서부에서의 풍반 작용은 단지 몇 년 사이에 1m 이상 달했다. 이것은 수천 년 동안 전 지역의 장기적인 평균 침식률인 단지 수 cm인 것과 비교했을 때 엄청나게 큰 속도이다.
-풍반 골자기와 구덩이
바람의 침식에 의해 생긴 작은 접시나 여물통같이 생긴 골자기와 큰 구덩이는 풍반작용의 가장 뚜렷한 증거이다. 수만 개의 이들 구덩이는 캐나다에서 텍사스에 이르는 북아메리카의 반건조 대평원 지역에 있다. 이들은 2km내외의 길이에 단지 1-2m 깊이를 갖는다. 습한 해에는 큰 것들은 풀이 바닥에 자라게 되고 낮은 호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건조한 해에는 토양 습기가 증발하여, 풀이 죽게 되고 바람은 맨땅의 토양을 운반, 제거시킨다.
퇴적물이 특히 바람에 의해서 침식되기 쉬운 지역에서 풍반 구덩이는 50m 이상의 깊이까지 파여질 수 있다. 이집트 서부의 리비아 사막의 거대한 카타라 저지대는 그 바닥이 해수면보다 100m 이상 아래에 있는데 심한 풍반 작용에 의해 생겼다. 어느 구덩이든지 풍반 작용이 미칠 수 있는 깊이는 지하수면까지이다. 풍반 작용이 지하가 물로 포화된 면까지 땅을 낮추게 되면, 표면의 토양은 습기가 있게 되고, 다라서 더 이상의 풍반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게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게 한다.
-사막포장
그림 13.9 풍반 작용 분급이 불량한 퇴적물의 점진적인 풍반 작용이 사막 포장면의 발달을 초래한다. |
![]() |
그림 13.10 사막 포장 캘리포니아 썰리스 계곡바닥의 사막 포장면이 조립질의 자갈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너무 조립질이어서 바람에 의해서 제거되지 않고 세립질 퇴적물을 덮으며 더 이상의 침식을 막는다. |
![]() |
모래와 먼지가 충적 퇴적물로부터 날려가게 되거나 판상의 침식(제10장)에 의해 국부적으로 제거되면 너무 커서 이동될 수 없는 암석들은 표면에 집중되게 된다(그림13.9). 궁극적으로 암석들의 연속적인 포장을 형성하여 암석들이 자갈 포장에서의 자갈처럼 거의 서로 꼭 끼워져 있는 사막 포장을 형성한다(그림13.10).
-마모작용
-풍식력
기반암과 느슨한 암석들이 바람에 날린 모래와 먼지에 의해 마모되는 곳에서 그들은 특징적인 형태와 표면 광택을 나타낸다. 바람에 의해 퇴적물이 마모되고 형태가 결정된 어느 기반암 표면이나 암석은 풍식력이다(그림13.11). 풍식력은 적어도 오르바람 쪽으로 향한 하나의 매끄럽게 마모된 면을 갖는 것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그림13.12). 만일 주위 퇴적물의 침식이 암석의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새로운 면이 다른 방향에서 잘려나가게 될 것이다. 이 새로운 면이 원래의 침식면과 만나는 곳에서 배의 용골같은 예리한 모서리가 생긴다. 바람에 마모된 면은 위를 향하기 때문에 방향이 바뀌지 않은 채 형성된
그림 13.11 풍식력 풍식력의 형성. A. 도약이동 모래 입자들은 사막 표면위에 돌출된 암석의 오르바람 쪽에 충돌한다. B. 모래 입자들이 암석을 깎아 냄에 따라 단면이 암석의 내리바람 쪽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C. 계속되는 모래의 충돌로 마모면은 낮은 각도로 된다.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면, 풍식력의 노출면은 지표면까지 낮아질 수 있다. |
![]() |
풍식력은 탁월풍의 방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림 13.12 풍식력의 야외 분포 현장 풍력들의 남극 대륙의 빅토리아 계곡 바다 호수부근 지표면에 흩어져 있다. 가장 심하게 마모된 면은 오른쪽으로 경사져 있는데, 이 방향으로 강한 바람이 동 남극 대륙 빙상위(east Antarctic ice sheet) 로 분다, |
![]() |
-야당
일부 사막지역에서 흔한 풍성 지형 중에 야당이라고 불리는 길쭉하고, 유선형의 바람에 의해 침식된 돌출부가 있다. 전형적으로 야당은 예리한 정상부를 가지며 단단하고 다져진 퇴적물이나 심하게 풍화된 결정질 암석이 깎여서 된 것이다(그림13.13). 어떤 것들은 뒤집혀진 배의 선체를 닮았다. 각각의 야당은 수십 km의 길이와 100m높이까지 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그룹으로 산출된다. 야당은 아마도 지표면에서 불규칙한 저지대를 따라 일어나는 차별적 풍반 작용에 의해 초기에 생성되고, 이들 지표는 대체로 풍향에 평행하게 놓여있다. 그리고나서 그들은 바람에 날린 모래 먼지의 마모 작용이 저지대를 더욱 깊게 하고 넓게 함에 따라 별적으로 솟아있는 돌출부를 형성하면서 크기가 증가한다.
그림 13.13 야당 다져진 호수 퇴적물로부터 깎여 형성된 예리한 정상의 야당이 남부 캘리포니아의 라저스 플라야 바닥 위로 솟아있다. 야당의 정상은 탁월풍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
![]() |
-풍성퇴적물
비록 바람의 활동이 현재 건조 지역과 반건조 지역에 주로 제한되어 있지만 바람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은 이들 지역뿐 만 아니라 식물로 덮인 습윤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이런 분포에 대한 설명은 일부는 변하는 기후 체계와 관련되고 일부는 바람에 날린 먼지는 흔히 기원지로부터 먼 곳에 가라앉는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 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래바다와 황토 (0) | 2020.09.19 |
---|---|
사구 형태 및 이동 (0) | 2020.09.19 |
먼지의 퇴적과 바람에 날린 퇴적물의 유해적인 영향 (1) | 2020.09.19 |
모래연흔과 바람에 의한 먼지 이동 (0) | 2020.09.19 |
바람에 의한 퇴적물의 이동(도약 이동)에 관하여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