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의 원인
![]() |
그림12.32 얼름부피의 동위원소 기록 심해저 코아에 기록된 산소 동위원소의 변동곡선은 지난 2백만년 동안의 전지구적인 빙하의 부피변화를 나타낸다. 지난 일백만년 동안 빙하기-간빙기의 주기는 약 100,000년 이었다. 그 이전에는 주기가 40,000년 가량이었다. |
지구가 일련의 빙하기를 겪었음이 지질학자들에 의해 처음 확신 된 이후, 빙하기의 원인은 지속적인 논쟁과 연구의 대상이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문제에 관해 과거 어느 때보다도 해답에 근접해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만은 문제들이 남아있다. 왜냐하면 기후 변화는 대기뿐만 아니라 고체지구, 해양, 생물권, 그리고 지구 밖의 요인들과도 관련이 되어 있는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빙하기의 문제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은 여러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노력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빙하기와 움직이는 대륙
수천만 년씩 지속되는 빙하기와 간빙기의 순환이 여러 차례 일어난다면 그 기간은 지질학적 기록으로 남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간이 생기는 이유를 가장 합리적으로 성명해 줄 수 있는 것은 지구의 지각에 영향을 주는, 느리지만 중요한 지리적 변화들이다. 이러한 변화에는 (1)암석권의 판이 움직임에 따라 대륙이 이동하는 현상; (2)대륙이 충돌하는 곳에서 대륙 지각이 대규모로 융기하는 현상; (3)판이 섭입하는 지역에서 산맥이 생성되는 현상; (4)움직이는 땅덩이 사이로 해양 분지와 내해가 열리거나 닫히는 현상들이 포함된다.
지구의 이러한 운동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낮은 온도가 유지되어 빙하가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는 지역이 고위도 지방의 땅덩이이거나 고도가 높은 지역이라는 사실에 의해 설명된다. 게다가, 빙하는 바람에 의해 근처의 바다에서 증발한 대량의 수분이 공급될 수 있는 지역에 흔하다. 오늘날, 지구상의 빙하 얼음의 84%가 온도가 항상 어느 점 이하이며 바다에 둘러 쌓여 있는 남극 대륙에 나타난다. 적도 가까이 발견되는 빙하들은 매우 높은 고도에서만 나타난다.
육지의 위치, 형태, 그리고 고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이런 과정에 의해 해류와 대기의 이동 경로도 변화해왔다는 것이 많은 증거들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저위도 지방에서 고기의 대륙빙 빙하작용의 증거가 발견될 경우, 우리는 이 지역이 과거에 커다란 빙하가 유지될 수 있는 고위도 지방에 위치해 있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 가장 극적인 예는 후기 고생대의 빙하퇴적층이 나타나는 남아메리카, 남부 아프리카,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그리고 남극 대륙이다.표석점토암과 이와 연관된 암석들은 남극 가까이에 위치해 있던 광대한 대륙(곤드와나랜드로 불림)의 상당부분을 반복적으로 피복했던 대륙 빙하의 퇴적층올 해석되었다. 곤드와나랜드가 큰 덩어리들로 갈라지고 이들이 나중에 북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기의 빙하 기원 암석들이 현재의 저위도 지방에서 발견되고 있다.
중생대의 암석에서 빙하 기원 암석이 광범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은 이 기간 동안 지구상의 육지들이 대부분 극지방으로부터 멀리 이동해 있었으며 기후는 온화했었음을 시사한다. 신생대 초기가 되자 서서히 움직이는 땅덩이들은 다시 극지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으며, 구조 운동에 의해 미국 서부와 아시아 중심부의 넓은 지역이 높은 고도로 융기하였다. 신생대 중기에는 지구가 또 한 번의 긴 빙하고 다시 들어서게 되었다.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 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하시대 (0) | 2020.09.18 |
---|---|
빙하기와 천문학적 이론, 빙하기의 대기조성, 빙하기의 해류 순환의 변화와 태양의 변화, 화산 활동, 그리고 소빙하기 등에 관하여 (0) | 2020.09.18 |
빙하기, 빙하기의 빙하, 배수계의 전환과 빙하, 더 오래 전의 빙하작용, 호수플라이스토세 이전의 빙하작용 등 (0) | 2020.09.18 |
빙하 퇴적층, 얼음에 의해 쌓인 퇴적층, 빙퇴석, 층상 표류층 등에 대하여 (0) | 2020.09.18 |
피요르드와 빙모와 대륙빙에 의해 생긴 지형들에 관하여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