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물체가 지구와 충돌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충격으로 구덩이가 생긱는 과정에서 물체로부터 지표면으로 운동에너지가 전달되어 지표면은 변형된다. 그 결과는 충돌구덩이(crater)로 거의 원형인 사발모양의 함몰이다. 함몰지의 너비, 깊이 그리고 충돌과 연관된 다른 영향들은 외계물질의 속도와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접근물제의 속도와 크기
운석의 총 유입량은 약 107~109kg/년이다. 이것은 하루 수백톤의 운석이 지구로 유입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운석물질의 대부분의 먼지 만한 크기의 입자들, 즉 미세운석(micrometerorites)으로 되어있다. 지구중력 때문에, 지구에서의 운석 유입량은 달에서 보다 약 50%정도 더 많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직경 1m 이하의 작은 물체들은 딸에 닿기도 전에 지구 대기권에서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부서져 타버린다. 한편, 침식이라는 지구표면의 능동적인 변형으로 인해, 달 표면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구덩이들은 지구표면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대기권을 지나 구덩이를 만들 수 이쓸 정도로 커다란 물체들은 1년에 약 한 번 정도로 지구에 떨어진다. 수 km 또는 그 이상의 구덩이를 형성하는 대 충돌은 매우 드물다. 예를 들어 직경이 100m에서 수 km에 이르는 운석은 백만년에 한 번 이하로 지구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대기권으로 들어오는 작은 운석들의 속도는 4-40km/초로 측정된다. 만약 거대한 운석이 그 같은 속도로 지구에 떨어진다면, 에너지 방출량은 엄청날 것이다. 15km/초의 속도로 운동하는 직경 30m인 운석의 충돌은 TNT 4백만톤의 폭발과 맞먹는 양의 에너지를 방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 결과는 충돌구덩이의 직경이 1200m, 깊이가 200m인 미국 애리조나주의 배링거 운석구덩이를 예로 들 수 있다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시설물 재해예방 계측시스템(제안) (0) | 2020.08.30 |
---|---|
운석 충돌과 대량멸종 (0) | 2020.08.30 |
운석의 기원 (0) | 2020.08.30 |
운석의 충돌 (0) | 2020.08.30 |
지질학자와 토목공학자 (0) | 202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