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은 주요 축조재료에 따라 대체로 필댐과 콘크리트댐으로 나뉘고 필댐은 다시 흙댐, 록 필댐, 토석댐으로 나뉘어 진다. 또한 필댐은 설계형식 즉, 불투수성 부분의 구성에 따라 균 일형, 죤형, 중심코어형, 경사코어형 및 표면 차수벽형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목적 댐은 대부분 록필댐-중심코어형으로, 발전 및 용수전용댐은 각각 콘크리트댐과 흙댐-중심코어형 및 표면차수벽형 등으로 설계되었으나 전체적인 댐 형식의 분포로는 필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매뉴얼은 필댐과 콘크리트댐에 대하여 각 각 구분하여 작성되었다.
필댐의 경우 우리나라 필댐의 주류를 이루는 흙댐 및 록필댐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 며, 여기에 표면차수벽형인 C.F.R.D(Concrete Faced Rockfill Dam)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내용 중 에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콘크리트댐의 경우 우리나라 콘크리트댐의 주류를 이루는 중력식 콘크리트댐을 주요대상으로 하였다.
아울러 본 유지관리 매뉴얼은 관리주체에서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의 내용 에 따라 시행되고 있는 점검을 보다 내실있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공통적이거 나 일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이므로 관리주체에서는 본 내용을 중심으로 시설 물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내용의 방법 및 기준은 절 대적이거나 구속력이 있는 사항이 아님을 밝혀둔다.
댐시설안전점검및정밀안전진단세부지침,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 시설물의안전점검및정밀안전진단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정의들이다.
◦ 가능최대강우량(PMP) : 주어진 지속기간 동안 어느 특정위치에 주어진 호우면적에 대하여 연중 어느 지정된 기간에 물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론적 최대강우량
◦ 가능최대홍수량(PMF) : 수문, 기상학적 악조건의 발생가능성을 고려한 가능최대강우 량으로 인한 가상의 홍수량 ◦ 간극수압 : 흙 입자에 압력이 가해 졌을 때 물과 흙의 입자부분은 부피가 축소하지 않으므로 간극내에 있는 물이 유출되지 않는 한 가해진 압력의 일부는 물이 받게 된 다. 이때 물의 압력을 간극수압이라 한다.
◦ 개량(改良) : 기존 시설물을 현재의 상태 보다 더욱 양호한 상태로 고치거나, 사회적, 경제적인 여건변동으로 인하여 이에 부응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설물의 개조
◦ 검사랑(inspection gallery) : 감사랑이라고도 하며, 중력 댐, 아치 중력 댐, 아치 댐의 내부 또는 모든 형식의 댐 기반 내부에 만들어지는 통로, 댐의 점검, 측정, 배수, 기초 처리 등을 하기 위함.
◦ 공동현상(cavitation) : 유속이 빨라질수록 유선(流線)의 휨으로 인한 영향이 커지기 때 문에 국부적으로 수압이 매우 낮아지는 현상으로 압력이 증기압보다 낮아지면 액체가 기화하거나 또는 녹아 있던 공기 등이 기포로 되기 때문에 공동(空洞)이 발생한다. 발 생한 공동은 흐름과 함께 이동하며, 압력이 높은 곳에 오면 주위의 압력에 의해 찌부 러지는데, 이 때 국소적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이 고체면 가까이에서 일어나면 고체면에 구멍이 뚫려 버린다.
◦ 그라우팅(grouting) : 지반개량이나 용수(湧水)의 방지를 위해 땅속 공극에 시멘트 풀 을 압입하는 공법으로 시공장소와 목적에 따라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consolidation grouting), 커어튼 그라우팅(curtain grouting), 림 그라우팅(rim grouting), 콘택트 그 라우팅(contact grouting) 등이 있다.
◦ 기능(機能) : 목적 또는 요구에 따라서 대상물이 달성하는 역할 ◦ 기능성(機能性) : 시설물에 요구되는 기능에 관한 제 성능
◦ 기록(記錄) : 점검이나 측정을 통하여 발견된 이상현상 등에 관한 사항과 이것의 처리 사항을 일정한 양식에 기술하는 것. 또한 시설물을 유지관리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자료를 작성하는 것 ◦ 난류(亂流, turbulent flow) : 물의 흐름이 관 등의 축선(軸線)에 평행이 아니고, 물입 자가 섞여서 소용돌이를 이루며 흐르는 현상
◦ 내구성(耐久性) : 시간경과에 따른 시설물의 성능, 기능저하 등의 변화에 저항하는 성능 ◦ 내용년수(耐用年數) : 시설물과 부대설비가 건설후 사용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적인 마모, 기능의 저하 등으로 인하여 그 시설물을 이용하는데 안전 및 기능유지 가 어려운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기간
◦ 내용성(耐用性) : 시설물 또는 그 부분이 기능을 지속해서 유지하는 능력 ◦ 내하성(耐荷性) : 부재의 내하력으로 평가하는 시설물의 성능
◦ 단계식 그라우트 방식 : 소정의 깊이까지 순차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나누어 순차적 으로 주입하는 방식
◦ 대댐 : 댐 중 댐높이가 15m이상의 것
◦ 도랑침식 : 강우에 의한 유출로 인하여 사면 또는 사면과 안부 접합부위에 도랑형태 의 침식이 발생하는 것
◦ 도류벽(retaining wall) : 중앙 월류형(越流形) 여수로 또는 슈트(chute)형 여수로처럼 경사면에 따른 개수로로 홍수를 흘려보내는 형식의 여수로에 있어서 홍수가 넘치게 되지 않고, 또한 거침없는 흐름이 되도록 수로의 양측에 만든 콘크리트의 벽
◦ 도수터널 : 상수도, 수력 발전 등을 위해 취수한 물을 원수 그대로 취수구에서 목적지 까지 보내는 동안의 수로터널을 말함
◦ 동결융해(freezing and thawing) : 지반 등의 간극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기온의 변화 와 더불어 동결과 융해를 반복하는 것
◦ 동수경사 : 관을 흐르는 물이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은 흐름이 있을 때 관에 수없이 많은 압력계(manometer)를 장치해서 얻어지는 수주의 높이를 피이조(piezo) 수두라하 며 동수경사란 피이조 수두의 경사를 말한다.(동수경사)
◦ 동수압(動水壓, hydrodynamic pressure) : 지진시 댐에는 지진 파고를 가산한 정수압 외에 지진의 가속도에 의한 물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것
◦ 균열 : 콘크리트 등의 구체에 과대한 응력이 발생되어 할열이 발생된 현상 ◦ 박락 : 콘크리트가 균열을 따라서 원형으로 떨어져 나가는 층분리현상의 진전된 현상
◦ 박리 : 콘크리트 표면이 점진적으로 손실되는 현상
◦ 배사구 : 하천으로부터 취수구 부근에 쌓이는 토사를 흘려보내 송수로로 토사가 유입 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
◦ 보강(補强) : 파손된 구조물 보수에 있어서 원래의 기능 이상으로 기능향상을 꾀하거 나, 적극적으로 기존 구조물의 기능향상을 목적으로 행하는 작업.
◦ 보링(boring) : 토질이나 암석 내에 조사 또는 시료의 채취 등의 목적으로 구멍을 뚫 는 것
◦ 보수(補修) : 일상적인 손질 즉, 유지로는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크게 손상된 시설물 을 수리하여 원래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작업
◦ 복구(復舊) : 재해 등의 요인으로 변형되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시설물을 원형으로 만들어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보수하는 작업
◦ 부등침하 : 구조물의 상호간이나 혹은 기초의 상호간에 상대적인 침하량의 차이나 또 는 그 현상. 절대침하보다는 구조물에 있어서는 훨씬 문제가 되며 균열(crack)이나 경 사 등의 폐해를 일으킴
◦ 부압 : 여수로 조절부의 경우 월류수맥의 하부가 웨어형상보다 높을 경우 수맥과 웨 어면사이에서 외부기압보다 낮아지는 압력
◦ 분사(quick sand)현상 : 모래 지반에 있어서 그 어떤 원인으로 지하수가 상승류를 일 으켜 그 유체압에 의해서 흙 입자가 떠올라 전단저항이 줄어진 경우 분사현상을 일으 켜서 지지력을 상실한다. 이 상태가 다시금 진행하면 보일링(boiling)을 일으킨다.
◦ 삼각웨어 : 유량의 측정에 이용하는 칼날 웨어의 한 종류인데 흐르는 방향으로 직각 으로 설치하며 일반적으로 적은 유량의 측정에 적합함
◦ 상류(常流, streaming flow) : 개수로 흐름에 있어서 수표면의 교란이 전해지는 속도 가 유속보다 빠른 흐름. 상류는 하류측의 영향이 상류에 전해지므로 수면형은 하류측 의 경계 조건에 지배되어 정해진다. 상류의 경우 후루드수(Froude number)라 불리는 무차원량 Fr은 반드시 Fr<1을 만족한다.
◦ 세굴(scour) : 콘크리트 표면이나 강바닥이 유수(流水)에 의해 깎여지는 것
◦ 세로이음(longitudinal joint) : 종방향 수축이음이라고도 하며, 중력식 콘크리트 댐을 블록공법에 의해 건설하는 경우, 수축에 의해 댐 콘크리트의 댐축과 평행 방향의 균열 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음
◦ 손상(損傷) : 시설물이 자체적인 변화 또는 외부의 작용에 의해 불완전하게 된 상태
◦ 수축이음(contraction joint) : 콘크리트가 수축될 때 콘크리트 구조물에 불규칙적인 균 열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드는 이음
◦ 슬립폼 : 콘크리트 차수벽의 콘크리트 타설시 이용되는 장비
◦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 : 단단히 굳은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쳐서 잇기 위해 만든 이음매. 시공이음에는 그 방향에 따라 수평 시공이음과 연직 시공이음이 있다.
◦ 시험굴조사 : 토질조사를 위해 구멍과 도랑을 파는 것으로 보통은 그 속에 사람이 들 어가 직접조사가 가능한 크기로 굴착하는 경우를 말함
◦ 신설(新設) : 시설물을 새로 축조하는 작업
◦ 신축이음(expansion joint) : 콘크리트 및 철근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은 온도 또는 건 습 변화에 의해 늘어나고 줄어드는데, 그 이동이 제한되고 있는 경우 내부 변형이 생 겨 균열 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당한 위치 및 길이마다 만든 이음
◦ 심벽 : 흙댐(earth dam)이나 암석 댐(rockfill dam) 등의 둑에 있어서 저수에 대한 침 투를 막기 위해서 불투수성의 재료를 사용하여 둑의 중앙부에 설치한 차수벽
◦ 안부 : 댐체의 좌․우측 접합부위로서 댐마루에서 하류를 바라보며 좌측을 좌안부, 우 측을 우안부로 구분한다.
◦ 안식각(安息角) : 모래와 자갈 등의 점착력이 없는 흙의 사면이 흙이 뿌려진 상태에서 안정을 유지하는 가장 급한 경사각
◦ 알카리골재반응 : 시멘트중의 알카리성분이 시멘트 풀의 모세관 공극 중의 수산화칼 슘을 함유한 고알칼리성의 공극용액과 공재중에 함유된 반응성 실리카질 광물에 의해서 일어나는 반응
◦ 양압력(uplift) : 콘크리트 댐의 기저면 또는 내부의 수평 타설이음에 작용하는 간극 수압, 댐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 엔드실(end sill) : 감세지(減勢池)의 양끝에 설치하여 흐름을 하상(河床)으로부터 떨어 지도록 해서 감세지 하류의 하상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 ◦ 여유고 : 설계최고수위에서 댐마루까지의 높이 차
◦ 역청(歷靑, bitumen) : 2황화 탄소에 녹는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재료를 말한 다. 천연 또는 석유의 증류 찌꺼기에서 얻어지며 일반적으로 아스팔트계의 재료를 말 한다.
◦ 염해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염소이온의 침입에 의하여 철근부식 등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 것 ◦ 용탈현상(leaching) : 흙입자나 그 간극수 중에 포함되는 산, 염류나 광물 속의 가용 성분이 침투수나 지하수로 녹아서 유출하는 것. 퀵 크레이는 용탈이 진행된 대표적인 찰흙이다.
◦ 유지관리(維持管理) : 시설물과 부대시설의 기능을 보존하고 이용자의 편익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또는 정기적으로 시설물의 상태를 조사하고 손상부에 대 한 조치를 취하는 일련의 행위
◦ 유효응력(effective stress) : 흙에 하중이 작용할 때 전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것으로 서로 접하는 흙입자 사이에 생기는 평균적인 응력
◦ 응력전이(load transfer) = 아칭현상(arching effect) : 토체의 일부분이 토압의 증가로 인하여 항복상태에 도달하면 항복부분의 흙은 정지된 토체 사이의 원 위치로부터 이 동하게 된다. 이러한 토체내의 상대적인 이동은 항복부 정지부 사이의 전단 저항에 의 해서 억제되고 있으며, 이 전단저항이 항복토체를 원 위치에 유지시키려고 하기 때문 에 항복부에 대한 토압은 감소되고 정지부의 토압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토체의 항 복부로부터 인접해 있는 정지부 토체로의 압력 전이현상을 응력전이 혹은 아칭현상이 라고 한다.
◦ 이상(異狀) : 시설물의 각 부분에 있어서 위치, 형상, 구조 등이 정상이 아니어서 제 기능을 발휘하기가 곤란하게 된 상태
- 저수위(low water level, LWL) : 정상적인 저수지운영에서 사용되는 가장 낮은 수위로 서, 일반적으로 최저 취수위를 뜻한다. 대댐에서는 이상가뭄 발생시에 비상용수의 공 급을 위해서 저수위와 사수위사이에 비상용수 방류관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저 수위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① 유사의 퇴적으로 취수에 지장이 없을 것 ② 저수지내의 어족과 야생동물 생존에 필요한 최저수위 ③ 댐 건설과 관련하여 계약이나 행정적으로 구속을 받는 상․하류 수리구조물의 기 능유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위
- 사수위(dead storage level, DSL) : 유사의 퇴적으로 인하여 저수기능이 상실되는 상한 표고를 말한다. 저수지의 물리적수명을 100년이라고 보아서 일반적으로 대댐에선 100 년간의 퇴사량을 대상으로 사수위를 결정한다. - 상시만수위(normal high water lavel, NHWL) : 비홍수기에 저수할 수 있는 상한수위 로서 이수용량의 최대 범위를 뜻한다. - 홍수기 제한수위(restricted water level, RWL) : 홍수조절용량을 더 확보하기 위해 홍 수기에 제한하는 저수지 수위로서 일반적으로 상시만수위보다 낮다. 즉 홍수기 만수위 로서 공용용량의 하한수위가 된다.
- 홍수위(flood water level, FWL) : 홍수조절에서 유입 홍수를 저장할 수 있는 최고수위 로서 설계홍수위(design flood level)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설계홍수위는 빈도별 홍수 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 최고수위(maximum water level, MWL) : 가능최대홍수(probable maximum flood, PMF)가 저수지로 유입될 경우에 상승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위이다. 설계홍수위와 같거나, 빈도홍수를 설계홍수량으로 채택한 댐의 경우는 설계홍수위보다 높다. 일반적 으로 최고수위에 여유고를 두어 댐마루 표고를 결정하게 된다.
- 비활용용량(inactive storage) : 댐 바닥으로부터 저수위 사이의 용량으로서 평시에는 용수목적으로 쓰이지 않는 공간으로 불용용량을 뜻한다. 비활용용량은 사수위를 경계 로 퇴사로 이용이 불가능한 아랫부분의 사수용량(dead storage)과 가뭄과 같은 비상시 에는 이용이 가능한 윗 부분의 비상용량으로 나눌 수가 있다. 비상용량은 이상가뭄이 나 댐체 보수를 해야 할 경우에 관계당국의 승인을 얻어 방류할 수 있다.
- 이수용량(water conservation storage) : 저수위(LWL)로부터 상시만수위(NHWL) 또는 홍수기 제한수위(RWL) 사이의 이수목적으로 사용되는 저수공간을 뜻한다. 이수용량 은 계절에 따라 다르며 상시만수위까지의 비홍수기 이수용량과 제한수위까지의 홍수 기 이수용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홍수조절용량(flood control storage) : 상시만수위 또는 제한수위에서 홍수위 사이의 저수공간으로서 홍수조절목적으로 사용된다. 상시만수위에서 홍수위 사이의 공간은 홍수조절전용용량(exclusive flood control storage)이라고 한다.
- 공용용량(joint use storage) : 제한수위와 상시만수위 사이의 저수공간을 의미한다. 홍 수기에는 홍수조절용량으로, 비홍수기에는 이수용량으로 이용되며 홍수기가 되면 공용 용량을 미리 방류하여 이를 치수목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 초과용량(surcharge storage) : 홍수위와 최고수위까지의 용량을 말한다. 이 용량은 설 계홍수(design flood)와 여수로 방류능력 및 저수지 조작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이상홍 수량 이라고도 한다.
- 유효저수용량(effective storage) : 저수위로부터 상시만수위까지의 용량으로 이수목적 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효공간을 뜻한다. - 활용용량(active storage) : 저수위로부터 홍수위 사이의 용량으로 이수목적의 활용용량 과 홍수조절용량을 합한 공간으로서 저수지의 이용할 수 있는 유효공간을 뜻한다.
- 총저수용량(total storage) : 댐바닥으로부터 홍수위까지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총 저 수공간을 뜻한다. 비활용용량과 유효저수용량의 합으로서 초과용량은 포함되지 않음
◦ 전기비저항 탐사 : 전기비저항 탐사는 지하매질의 전기비저항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이상 전위차를 측정하고 이를 해석함으로서 지하구조를 규명해 내는 물리탐사기술
◦ 전동류 : 잠수버킷형 감세공에서 방류 수맥을 수중으로 관입시킬 경우 수중에서 발생 되는 회전 흐름 ◦ 전압 : 시공 재료를 롤러 등의 압력으로 눌러 다지는 것
◦ 전응력(全應力, total stress) : 평면상에 있는 흙을 고려할 때 평면은 흙입자와 간극의 유체에 접해 있으며 각각으로부터 힘을 받고 있다. 전응력이란 이 평면의 단위 면적당 에 작용하는 흙입자 및 유체로부터 나오는 힘의 합계의 수직 성분이다. 전자를 유효응 력 a', 후자를 간극압 u라 하며, 전응력 a는 a'+ u이다.
◦ 점검(點檢) : 시설물의 물리적, 기능적, 환경적 상황을 시설물의 이상에 대하여 신속하 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조사
◦ 정류작용 : 평형류의 흐름에 의한 작용
◦ 정상파(定常波, stationary wave) : 서로 마주보고 달려오는 조화파의 파장과 진폭이 같을 때 두파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증폭되고, 마치 공간에 파동이 머무르고 있는 듯한 양상을 보이는 현상. 즉, 평행하게 진행하던 흐름이 벽에 차단되어 분산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반사되어 파동이 확폭되는 현상.
◦ 정수압(靜水壓, hydrostatic pressure) : 정지해 있는 물 속에서의 수압으로서, 정수압 의 세기는 단위 면적당 수압의 크기로서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P=Pa+ρgh 여기서, Pa : 수면에 작용하는 대기압, ρ : 물의 밀도, g : 중력 가속도, h : 작용점까지 수면으로 부터의 깊이
◦ 탄산화 : 경화콘크리트가 노출되어있는 경우 그 표면은 공기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을 받아 수산화칼슘이 서서히 탄산칼슘으로 변화되어 알칼리성을 잃게 되는 현상
◦ 지내력 : 지반의 허용내력을 말하며 허용내력은 지반의 허용지지력과 구조물에 해를 주지 않을 정도의 침하량(허용침하량)을 고려하여 정한다. 지반의 지지력은 점착력, 내부 마찰각, 단위체적중량 등 지반 자신의 성질이나 기초 저면의 형상, 기초가 설치 되는 깊이 등에 따라 좌우된다.
◦ 지배단면 : 한계흐름이 발생되는 지점으로 유입흐름의 에너지 감쇄나 수로에 충분한 수심을 유지하도록 하류단에 한계흐름을 제공하는 점
◦ 차수벽(impervious wall) : 어스 댐이나 록필 댐 등의 필 타입 댐에 있어서 저수의 침 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댐의 본체의 중앙부 또는 상류측 표면에 설치하는 불투수성의 벽. 댐의 본체 내부에 설치하는 차수벽을 특히 심벽이라 하고 점토 등의 불투수성 재 료로 만든다.
◦ 추적자조사 : 추적자 시험은 유로의 발달상태, 누수의 존재 여부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으로 투입공에 추적자(염화나트륨, 불소, 색소물질 등)를 투입하고, 검출 공에서 적당한 장치를 이용하여 추적자를 검출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추적자 시험은 대개 1개의 투입공에 추적자를 투입한 후 다수의 검출공에서 적당한 시간간격으로 시 료를 채취, 시험하여 유로를 통과한 추적자를 검출하는 것이며 추적자 검출위치 및 투 입후 검출까지 경과시간 등에 의해 유로의 존재여부 및 발달상태를 분석․평가할 수 있다.
◦ 측정(測定) : 점검부위의 이상 또는 결함부의 상태를 정확히 알기 위하여 기기 또는 장비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자료를 산정하는 작업
◦ 층분리(delamination) : 철근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콘크리트가 층을 이루며 분리되는 현상으로 철근의 부식에 의한 팽창이 주요원인이며 이러한 부식은 주로 염화물이온 (소금, 염화칼슘)에 의하여 발생됨.
◦ 침식 : 사면이 빗물, 유수, 바람, 파도, 눈, 비 등의 작용으로 사면 또는 콘크리트 표면 이 손상되는 것 ◦ 침윤선 : 흙댐이나 하천제방 등에서 물이 수위가 높은 측에서 제방체내를 횡단방향으 로 침투해 갈 때 그 수위를 나타내는 선
◦ 캠버(camber) : 차도 또는 보도의 횡단 형상에서 중간이 높게 된 것 또는 횡단 물매 를 말한다. 교량, 도로에서는 자중에 의한 처짐이나 노면 배수를 고려하여 붙이는 표 수(表水)방향의 휨
◦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oncrete face rockfill dam) : 댐 단면이 콘크리트 차수 벽과 이 차수벽을 지지하는 차수벽 지지층 및 석괴층으로 구성되는 댐
◦ 콜드 조인트(cold joint) : 댐의 콘크리트는 각 블록마다 1 리프트씩 타입되어 가는데 이 경우 버킷으로 운반된 콘크리트는 인접한 콘크리트가 아직 굳기 전에 인접한 콘크 리트와 함께 진동기로 다지는 것이 보통임. 인접한 콘크리트가 이미 굳기 시작한 경우 는 새로 운반된 콘크리트와 인접한 콘크리트의 접촉면을 콜드 조인트라고 함.
◦ 크리프(creep) : 일정응력하에서 변형률이 시간과 함께 서서히 증대하는 현상으로서 흙의 점탄성적 내지는 점소성적인 성질에 기인함.
◦ 탄성파 토모그래피 : 지오토모그래피는 의학에서의 단층촬영(computeriged tomography) 기술을 지구물리 분야에 응용한 것으로 두 시추공 사이의 기하학적인 지층구조와 물 성에 관한 해석이 가능한 정밀지반조사법
◦ 탄성파검사 : 인공진원에 의한 탄성파동을 이용하여 지하의 구조와 물질의 성분을 알 아보는 물리탐사법이다. 이용하는 파에 따라 반사법(refraction method)과 굴절법 (reflection method)으로 분류된다.
◦ 파이핑(piping)현상 : 구조물 상․하류의 수위차에 따른 수압에 의해서 기초지반을 물 이 침투할때 물과 함께 잔입자가 이동하여 텅비게 되어 파이프 모양의 물길이 서서히 형성되어서 기초지반이 유동화하는 것
◦ 팩커 그라우트 방식 : 예정깊이까지 먼저 착공하고 단일패커를 임의 깊이까지 삽입하 여 구멍의 최하부에 주입하고 다음에 패커를 끌어올려 다음 단계의 주입을 하는 방식
◦ 편류 : 만곡 수로에서 구부러진 직후에는 내측의 유속분포가 측면과 대칭분포를 가지 지 못하고 기울어진 분포를 보이는 것 ◦ 편상승 : 상류흐름에서 수로만곡에 의해 발생하는 비교적 완만한 수위의 상승
◦ 필댐 : 자갈댐이나 록필댐 또는 흙댐과 같이 천연재료를 쌓아 올려 축조한 부분을 주 체로 하는 댐. 1958년 미국토목학회(ASCE)가 주최한 댐에 관한 심포지엄에서 댐 최 대단면의 50% 이상이 큰 돌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를 록․필댐(rockfill dam)이라고 하 고 50%이상이 흙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흙댐(earth dam)이라고 정의하였고, 이에 록필 댐과 흙댐을 각각 나누어서 분류하였으나 이 두 재료는 최근 서로 같이 사용됨.
◦ 필터(filter) : 필형 댐의 반투수 존(zone) 가운데 차수 존에 대한 입자의 유출을 막고 침투류를 완전히 배수할 목적으로 입도규제를 행한 것을 특히 필터라고 한다.
◦ 한계흐름 : 주어진 유량에 대해 비에너지가 최소일 때의 흐름 ◦ 후루드수 : 무차원량으로 개수로에 있어서의 유속 V와 파괴 전파 속도 V0의 비를 말 하며 Fr로 표기한다.
◦ 히이빙(heaving) : 연약한 점성토의 지반에서 흙막이 공사를 할 경우에 굴착 뒷면의 흙덩이 무게가 굴착 밑면의 지반 지지력보다 커져서 지반안의 흙이 미끄러져 기초 밑 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 GPR(ground penetrating radar)탐사 : 전자파를 송신원으로 하여 매질의 물성이 바뀌 는 경계면에서 반사된 전자파가 수신기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지반 구조 및 지하에 존재하는 각종 구조물의 위치와 형상을 해석하는 탐사법
◦ 수압할렬(hydraulic fracturing) : 심벽형 댐의 시공시 강성이 서로 다른 재료의 사용과 깊은 계곡의 凹형 지형등의 이유로 응력전이와 부등침하가 발생한 상태에서 담수로 수위가 상승하면 아칭효과로 감소된 최소주응력이 정수압보다 작아지는 곳에서 균열 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 RCD공법(roller compacted dam-concrete method) : 매우 된 반죽의 빈배합 콘크리트 를 덤프트럭 또는 콘베이어 등으로 운반하여 굳지 않은 상태에서 롤러를 사용하여 다 지는 공법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 토목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댐의 형태, 상하류면의 경사 (0) | 2023.04.30 |
---|---|
댐의 재료 및 형식에 의한 분류 (0) | 2023.04.30 |
사면의 보수ㆍ보강공법[사면의 구성재료와 공법의 원리] (0) | 2023.04.29 |
사면의 배수공법(집수시설[정]: 특성, 적용사례, 설계 및 유의점) (0) | 2023.04.29 |
사면의 배수공법(수평 배수공: 특성, 적용, 설계 및 유의점, 시공 불량)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