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상(phase), 4 components
이 그림은 미사질양토의 상부층의 구성을 체적비로 나타낸 것이다. 공기와 물의 경계를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토양의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범위를 표시한 것이다. 식물 성장을 위해서는 물 과 공기의 비가 반반일 때 가장 적절한 조건이 된다.
• 점토광물(토양고체의 대표광물)
1) 1:1 층형
- 카올린나이트(Al4Si4O10(OH)8)
- 할로이사이트(Al4Si4O10(OH)84H2O)
2) 2:1 층형
- 일라이트(Al4(Si6Al2)O20(OH)4nH2O)
- 스멕타이트(Mx(Al4-xMgx)Si8O20(OH)4)
- 질석(Mg(Al,Fe,Mg)4(Si6Al2)O20(OH)4․nH2O)
- 녹니석(Mg6(OH)12(Mg5Al)(Si6Al2)O20(OH)4)
• 토양 공기
1) CO2 농도 : 0.3-3%
2) 산소 농도 : 5-10%
3) 물의 함량에 따라 영향을 받음.
• 토양수분(Soil solution)
1) 강수로 토양으로 침투된 수분 가운데 지하수 포화대로 이동되고 남은 잔여 수분
2) 역할
- 식물에 영양분 공급
- 오염물질 이동
- 토양 공기 및 온도 조절
- 토양 침식
3) 토양수분 특성
- 극성(Polarity)
- 부착력(adhesive force) : 고체 표면이 물분자를 잡아당기는 힘
- 응집력(cohesive force) : 물분자끼리 서로 당기는 힘
4) 토양수분함량의 측정
가. 흡습수 (hygroscopic water) : 토양구성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 몇 분자만이 결합, 점토입자로부터 멀어질수록 결합력은 현저히 저하
나. 모세관수 (capillary water) : 작은 기공이나 간극사이에서 표면장력에 의하여 결합된 물. 지하수면의 상부 모세관대를 형성
다. 중력수 (gravitational water) : 중력에 의하여 지하로 이동되는 물. 이동이 자유스러우므로 자유수(free water)라고도 한다
☞ 모세관수와 중력수는 식물의 생장 관점, 환경오염관점에서 중요
6) 토양수분의 이동
☞ 수분 포텐셜(water potential)
- 물의 변화(이동)하려는 경향성
- 물은 수분포텐셜이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가) 포화이동 : 토양 대공극과 소공극이 포화된 상태에서의 이동
나) 불포화이동 : 수막의 장력에 따라 일어나는 이동. 함수량이 낮아지면 → 이동속도 저하
다) 수증기의 이동 : 확산과 대류에 의하여 이동
증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 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 오염물질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토양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 원소는 모두 유해한가? 우리나라의 토양 오염 기준. 토양목 12가지 (0) | 2020.09.27 |
---|---|
토양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토양의 양이온 교환능이란?, 토양 pH 란? (0) | 2020.09.27 |
기상이변 : 토네이도(tornado), 태풍(typhoon)과 허리케인(hurricane), 노리스터(nor' easter), 폭풍쇄도(storm surge), 엘니뇨, 라니냐, 라마마(La Mama) 등에 대하여 (0) | 2020.09.27 |
지표 지질조사(암석, 지층분포, 지질구조 등 지질도를 위한 조사) (0) | 2020.09.27 |
암석의 파괴이론 (Theories of failure) (0) | 202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