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의 이동속도
지구의 모든 판의운동은 확장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회전운동의 형태로서 나타낼수 있으며 각 점에서 속도는 확장극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이러한 판의 이동속도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중의 하나는 확장경계를 따라 발달되는 새로운 해양지각의 폭은 확장극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그림17.8)
-. 화산호
판이 하강함에 따라 가열되며 궁극적으로 판의 상부를 덮고 있는 물로 포화된 해양지각의 습윤부분이 용융(wet partial melting)이 시작된다. 이로 인하여 안산암질의 마그마가 생성되고 이들이 지표에 분출되어 그림4.36에서 보는것과 같은 층상화산열도가 만들어진다.
활처럼 굽은 모양으로 발달하는 화산활동 지역을 화산호(magmatic arc)라고 한다. 이들은 보통 해구와 나란히 발달하고 하강판 각도에 따라 해구 후면 약100〜400km 떨어진곳에 형성된다. 화산들이 해양지각위에 발달하면 호상열도(iceland arc)라고 부르고 대륙지각에 발달하면 대륙화산호(continental volcanic arc)라고 한다.
해양지각으로 덮혀있는 나이가 많고 차가운 암석권은 뜨겁고 소성(plastic)인 연약권보다 밀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나이가 많고 차가울수록 침강속도가 빠르고 경사각도 급해짐을 의미한다.
암석권이 하강함에 따라 암석권이 가열되고 온도는 상승하여 이 하강판의 온도가 강성을 유지할수 있을때까지 여기서 지진이 발생한다. 8cm/년의 속도로 빠르게 하강하는 하강판의 오녿변화에 대한 계산결과에 의하면 약 700km의 깊이에 도달할때까지 하강판이 강성을 유지 하는 것으로 알려져잇다. 아마 700km의 지점에서 지진이 발생하는것도 이러한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멜란지
수렴경계를 따라 발생하는 지각변형의 결과 지표면에는 여러 가지 지질구조가 발달한다. 멜란지(melange)는 지층이 심하게 교란 받아서 매우 복잡한 주조와 역단층들이 발달된 지질구조를 말한다. 섭입대가 발달하고 거기에 해구가 형성되면 해구에 퇴적물이 쌓이기 시작한다. 이런 퇴적물로부터 만들어진 퇴적암들은 하강하는 판에 의해 상부판 하부를 끌고 들어가게 된다. 이런 퇴적암은 밀도가 낮기 때문에 부력이 작용하고 매우 깊은 곳까지 끌려내려가지 못한다. 이처럼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갇힌 퇴적암들은 파쇄작용과 심한변형, 그리고 역단층이 일어나 극히 복잡한 구조를 갖는 멜란지를 형성한다(그림17.11)
멜란지가 점점 두껍게 발달하면서 변성작용을 받게 되고 퇴적암은 매우 급격히 끌려내려감에 따라 주변 암석에 비해 온도가 낮다. 따라서 일어나는 변성작용은 그림7.14 곡선 C에 해당되는 고압 저온형으로 대표적인 암석으로 청색 편암, 에클로자이트가 있으며 청색을 띠는 것은 청색각섬석 때문임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 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틀의 대류와 판구조 운동의 원인 (0) | 2020.09.19 |
---|---|
변화단층 경계, 열점과 판의 절대운동에 관하여 (0) | 2020.09.19 |
판구조론 때문에 생긴 해저지형 (1) | 2020.09.19 |
지각 판의 구조(판연변부의 3가지 형태: 발산경계, 수령경계, 변환단층 경계)와 이동에 관하여 (0) | 2020.09.19 |
빙하시대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