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수자원
2.1.1.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69~’98)은 내륙의 경우 1,271㎜이고, 제주도 등 주요 도서를 포함할 경우 1,283㎜이다. 이 양은 세계의 연평균 강수량 973㎜의 1.3배이나, 1인당 강수총량은 2,705㎥로 세계 평균 26,800㎥의 1/10 정도에 불과하다. 더욱이 강우가 계절적, 지역적으로 편중되며, 경사가 급한 산악지형의 특성으로 계절적 하천 유량 변동이 매우 커 수자원 관리에 불리한 자연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강수량의 경년 변화를 보면, 갈수년인 1939년에는 754㎜에서 풍수년인 1998년에는 1,782㎜까지 그 변동폭이 2.4배에 달할 정도로 크다. 계절별로는 연강수량의 2/3가 홍수기인 6~9월의 장마와 태풍기간에 집중되고, 갈수기인 11월부터 익년 4월까지 6개월 간은 연 강수량의 1/5에 불과하여, 평시에는 하천수량 부족으로 물공급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연중 고른 강수량을 갖는 외국과는 다르게 홍수와 가뭄이 빈발하다. 강수량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은 1,400㎜ 이상인 반면, 경북내륙지방은 1,100㎜ 미만으로 지역별 편차도 심하다.
우리나라의 연간 수자원 총량은 강수 총량에 해당하는 1,276억㎥으로서 이중 43%에 해당하는 545억㎥은 증발산으로 손실되고, 이용 가능한 수자원인 유출량은 수자원 총량의 57%에 해당하는 731억㎥이다. 이중에서 홍수기인 6월~9월의 유출량이 493억㎥으로 총 유출량의 67%를 차지하며, 평상시 유출량은 연 유출량의 1/3에 불과하다(<그림 2-1>).
2.1.2. 수자원 이용현황
“수자원장기종합계획(건설교통부, 2001)”에 의하면 '98년 현재 전국의 용수 총 이용량은 331억㎥에 이르며 이에는 제주도의 지하염수 이용량 6억㎥이 포함되어 있다. 이 양은 연간 수자원 총량 1,276억㎥의 26%이고, 유출량 731억㎥의 45%에 해당한다. 용도별로 살펴보면 농업용수가 158억㎥으로서 총 용수이용량의 48%로 가장 많고 생활용수가 73억㎥으로 22%이며, 공업용수는 9%인 29억㎥을 사용하였으며, 하천의 기능 유지를 주 목적으로 하는 유지용수로는 21%인 71억㎥을 사용하였다. 수원별로는 하천수 이용량이 16l억㎥, 댐 이용량이 133억㎥이며, 지하수 이용량은 약 37억㎥으로서 총 용수 이용량의 약 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2>).
한편, ‘65년부터 ’98년까지 수자원 이용의 변화를 살펴보면, 수자원 이용량은 인구증가, 국민소득 증가, 산업발전과 도시화의 진전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나서 ‘65년 51억㎥/년에서 ‘98년 325억㎥/년으로 6배를 넘는 비약적인 증가를 보였다. 용도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중에 농업용수는 45억㎥에서 158억㎥으로 113억㎥의 가장 많은 양의 증가를 보였으며, 생활용수는 2억㎥에서 73억㎥으로 71억㎥이 증가하여 30배를 넘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 밖에 공업용수는 4억㎥에서 29억㎥으로 25억㎥, 하천유지용수는 71억㎥이 증가하였다(<표 2-1>).
<표 2-1> 수자원 이용의 변화 (단위 : 억㎥/년)
구 분 | 1965년 | 1980년 | 1990년 | 1994년 | 1998년 | 증가량 | 증가율(배) |
용수 이용량 | 51.2 | 153 | 249 | 301 | 325 | 274 | 6.3 |
- 생활용수 - 공업용수 - 농업용수 - 유지용수 |
2.3 4.1 44.8 - |
19 7 102 25 |
42 24 147 36 |
62 26 149 64 |
73 29 152 71 |
71 25 107 71 |
31.7 6.1 2.4 순증 |
2.1.3. 수자원 이용 전망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건설교통부, 2001)”에 의하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4대 권역의 2011년 용수수요는 370억㎥에 이르는 반면 용수공급량은 352억㎥으로서 18억㎥의 물부족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신규 수자원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수 수요량을 용도별로 살펴보면, 생활용수는 2001년의 72억㎥에서 2011년에는 86억㎥으로 14억㎥의 증가가 예상된다. 공업용수 수요량은 약 7억㎥, 농업용수 수요량은 약 3억㎥의 증가가 예상되며, 하천유지용수 수요량은 갈수기 하천의 자정능력 확보 등을 위해 약 8억㎥의 증가가 예상된다(<표 2-2>).
한편 용수공급량중 지하수 공급량은 2001년 31억㎥에서 2011년에는 35억㎥으로 늘어나 용수 공급량중 지하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10% 수준으로서 현재보다 약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표 2-2> 4대 권역의 용수 수급 전망 (단위 : 백만㎥/년)
구 분 | 2001년 | 2006년 | 2011년 | 비 고 |
◦ 용수 수요량 - 생활용수 - 공업용수 - 농업용수 - 유지용수 |
33,741 7,219 3,345 15,629 7,548 |
34,728 7,550 3,695 15,746 7,737 |
36,998 8,644 4,031 15,955 8,368 |
|
◦ 용수 공급량 - 하 천 수 - 지 하 수 - 댐공급량 |
33,801 15,877 3,153 14,771 |
34,626 16,110 3,311 15,205 |
35,162 16,481 3,476 15,205 |
|
◦ 과Δ부족량 | 60 | Δ102 | Δ1,836 |
주) 제주도 및 울릉도 제외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응용지질학 > 지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지하수 수질현황 (0) | 2023.03.31 |
---|---|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 현황 (0) | 2023.03.31 |
지하수관측소별 지하수 함양계수 산정 (0) | 2023.03.31 |
유역별 지하수 함양량 산정 (0) | 2023.03.31 |
우리나라에서 지층별 암종(지역별)별 지하수 부존의 특징 (0) | 202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