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양수에 대한 자유면 대수층의 반응은 3단계로 구분된다:
1) 1단계:
→ 초기 수위하강은 대수층의 압축과 공극수의 팽창으로부터 물을 배출시킨다.
→ 이 기간에 대수층은 피압대수층과 같이 반응한다.
→ 지하수는 수평으로 이동하며, 대수층의 전체 두께에서 유입된다.
2) 2단계: 지하수면이 하강한다.
→ 물은 대수층의 중력배수로 배출되며, 수평과 수직 흐름이 형성된다.
→ 수위하강은 Kh/Kv, 양수정까지의 거리, 대수층의 두께 등에 영향을 받는다.
3) 3단계: 지하수위 하강속도가 낮아지며, 관정 인근에서의 유입량이 적어진다.
→ 지하수의 흐름은 다시 수평이 되고,
→ 시간과 유출량의 관계는 다시 Theis 곡선을 따른다.
<가정>
․통기대는 지하수위 하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양수 초기의 물은 매체의 탄성에 의하여 나오며, 시간이 지나면서 연결된 공극을
통한 중력배수에 의하여 저장량으로부터 나온다.
․포화두께에 비하면 수위하강은 무시할 정도이다.
․비산출률(specific yield; Sy)은 탄성 저류상수(elastic storativity; S)에 비하여 10배 이상 크다.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
'응용지질학 > 지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양수량으로부터 수리전도도의 추정 (0) | 2020.10.05 |
---|---|
Bouwer and Rice 의 순간충격시험 방법 (0) | 2020.10.05 |
반피압대수층(semi-confined aquifer)에서 누수 압층(Leaky confining layer)의 경우 (0) | 2020.10.05 |
지하수의 산출과 지층: 미고결 대수층, 화성암과 변성암, 화산암, 퇴적암 등에 대하여 (0) | 2020.10.05 |
광역적인 지하수 흐름 : 함양지역과 배출지역, 렌즈상 지층의 영향, 비균질 이방성 대수층, 지하수와 지표수 (호수, 습지, 하천)과의 관계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