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응용지질학/지질학

순상화산, 암설구 및 성층화산에 대하여

고지중해 2020. 9. 12. 12:00
728x90
반응형

· 순상화산

- 먼 거리를 유동할 수 있는 용암 분출이 여러 번 누적되어 생성된 큰 화산체를 순상화산이라 한다. 순상화산은 산록의 경사가 매우 완만한 돔형의 산체를 이룬다(그림4.11). 순상화산의 마그마는 뜨겁고 유동성이 높아 완만한 산체를 형성하지만, 계속적인 용암 분출에 따라 마그마가 냉각되면서 점성이 높아지면 이 용암이 유동하기 위해서는 좀 더 급한 산록경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순상화산은 그 정상부로 가면서 산록의 경사가 급해진다.

그림4. 11. 순상화산. 마우나 로아에서 바라본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에 의해 생성된 4,200m높이 순상화산인 마우나 케아.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마그마에 의해 형성된 완만한 산록경사를 주의해서 보자. 마우나 로아의 북동쪽 지역에서는 이전에 분출된 파호에호에 용암대지가 발달한다.

하와이의 킬라우에아 화산체는 산록의 경사가 5o이하이지만 정상부에서는 10o에 달한다.

순상화산은 특징적으로 현무암질 마그마로부터 형성되므로 화산재와 테프라의 비율은 적다. 하와이, 타이티, 사모아, 갈라파고스 등의 섬들은 거대한 순상화산이다.

암설구

유문암질 및 안산암질 화산은 다량의 화산 쇄설물을 분출한다. 화산 쇄설물은 소나기 처럼 쏟아지면서 화구 주변에 암설구(tephra cone)를 형성한다(그림4.12). 암설구의 경사는 화산쇄설물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세립질화산재로 생성된 암설구는 경사는 30-35o 내외이며 화산력이 우세한 것에서는 25o 내외이다. 화구에서 멀어질수록 화산쇄설물의 양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암설구 기저 가까이의 경사는 완만해진다.

그림 4.12. 암설구
A : 자이레의 키부화산 분출로 생성된 2개의 작은 암설구. 포물선 모양의 불꽃은 뜨겁고 붉은 화산력과 화산탄의 분출 때문에 생긴 것이다.
B : 화산력 크기의 화산쇄설물에 의해 생성된 애리조나의 암설구. 암설구의 기저로부터 흘러나온 작은 현무암질 용암을 주목하라.

·성층화산

- 분출 시간이 긴 안산암질의 거대한 화산들은 용암과 화산 쇄설물을 교대로 분출시킨다. 점성이 큰 용암과 화산 쇄설물이 교대로 쌓인 급경사의 화산을 성층화산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화산쇄설물은 용암과 비슷한 량이거나 이보다 많다.

수천 M 높이의 성층하산은 암설구와 비슷한 급경사의 산록면을 갖는다. 암설구에서 처럼 성층화산의 정상부는 40O 내외의 경사를 갖지만 화산체 기저 가까이에서는 6-10O 의 완만한 경사를 갖는다. 암설구와 성층화산의 구별은 용암층의 존재유무에 따른다. 성층화산에서 용암층은 화산쇄설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산체의 크기가 암설구에 비해 매우 크다. 아름답고 급한 경사면을 갖는 대표적인 성층화산인 일본의 후지산은 수세기 동안 시인들의 감성을 자극해온 대표적인 성층화산이며(그림4.13) 이외에 미국 워싱턴주의 레이니어(Rainier)화산과 베이커(Baker)화산, 오리곤주 후드(hood)화산이 대표적인 성층화산이다.

그림4.13 전형적인 성층화산


전형적인 성층화산을 보여주는 우둑 솟아 있는 눈 덮인 거대한 일본 후지산.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