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하수 수질현황
지하수 수질현황
현재 지하수 수질에 관한 자료로는 지하수개발․이용자가 수질검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한 정기수질검사 결과 자료와 환경부에서 전국적으로 오염우심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수질현황과 장기적 수질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한 수질측정망 자료 및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수질검사 자료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수 수질조사는 측정지점이 주로 오염우려지역에 편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수질기준 초과 여부에 초점을 두어 조사가 이루어진 관계로 전반적인 수질특성 파악과 오염지시항목 등 주요 성분의 함량 변화 추세 분석은 곤란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절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지하수의 전반적인 수질 현황을 간략히 살펴보았으며, 보다 상세한 사항은 “6. 지하수 수질관리 및 정화계획”에 서술하였다.
가. 지하수개발․이용시설에 대한 정기 수질검사 결과
지하수법 제20조의 규정에 따른 지하수개발․이용시설에 대한 2000년 수질검사결과, 전체 17,314건중 적합 16,722건, 부적합 592건으로 부적합률은 3.4%로 나타났다(<표 2-6> 참조).
<표 2-6> 2000년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
검사건수 | 적합 | 부적합 | 미기재 | 기준초과율(%) |
17,470 | 16,722 | 592 | 156 | 3.4 |
자료) 지하수조사연보(200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나. 환경부 지하수 수질측정망 결과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1996~1999년도까지 자료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수질 기준을 초과한 관측정의 비율은 약 7% 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공단지역, 폐기물매립지역 등 지하수의 점오염원으로 인식되는 오염우심 지역에 위치한 관측정에서는 전체 평균인 7%를 넘어 약 10% 이상의 관측정에서 수질기준이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표 2-7> 참조).
<표 2-7> 연도별 지하수 수질측정망 측정 결과
구 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총 조사지점수 | 1,527 | 1,513 | 2,333 | 3,323 |
수질기준 초과지점수 | 110 | 153 | 184 | 230 |
수질기준 초과지점(%) | 7.2% | 10.1% | 7.9% | 6.9% |
오염우심지역 | 10% 이상 | 10% 이상 | ||
도시계획 및 농림지역 | 3.8% | 6.8% |
자료) 환경백서(1997~2000, 환경부)
다. 국가 지하수관측망 수질검사 결과
국가 지하수 관측망에서 1997~2000년까지 년 2회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으로 수질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암반관측정의 부적합률은 평균 6%, 충적관측정에서의 부적합률은 13% 인 것으로 나타나 충적층지하수의 수질이 상대적으로 오염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부적합률의 증가 또는 감소 추세를 보이지는 않으나 2000년 하반기 충적층지하수 관측정의 부적합률이 1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표 2-8> 참조).
<표 2-8> 연도별 국가 지하수관측망 수질검사 결과
구 분 | 검 사 수 (건) |
적합 (건) |
부적합 (건) |
부적합 비율(%) | |
1997년 | 계 | 95 | 85 | 10 | 10.5 |
암반 지하수 관측정 | 52 | 48 | 4 | 7.7 | |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 | 43 | 37 | 6 | 14.0 | |
1998년 | 계 | 258 | 239 | 19 | 7.4 |
암반 지하수 관측정 | 149 | 139 | 10 | 6.7 | |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 | 109 | 100 | 9 | 8.3 | |
1999년 | 계 | 375 | 346 | 29 | 7.7 |
암반 지하수 관측정 | 231 | 220 | 11 | 4.8 | |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 | 144 | 126 | 18 | 12.5 | |
2000년 | 계 | 455 | 400 | 55 | 12.1 |
암반 지하수 관측정 | 288 | 266 | 22 | 7.6 | |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 | 167 | 134 | 33 | 19.8 |
자료) 지하수관측연보(1998~200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 잘 보셨으면 "좋아요" 부탁해요? 010-3816-1998. 감사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