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암(bedrock) 세계

nugget

Nugget-story
728x90
반응형

응용지질학/지질학 230

빙하 퇴적층, 얼음에 의해 쌓인 퇴적층, 빙퇴석, 층상 표류층 등에 대하여

-빙하 퇴적층 빙하는 침식과 운반의 효과적인 매체이다. 빙하가 만드는 퇴적층과 지형의 대부분이 독특하여 지질학자들은 과거의 빙하가 변화하며 만든 기록을 쉽게 해석할 수 있다. 빙하 및 빙하가 녹아 생긴 하천에 의해 쌓인 퇴적층을 빙하 표류층, 또는 간단히 표류층이라고 한다. 빙하 표류층에는 움직이는 얼음 및 정체되어있는 얼음과 관련하여 쌓인 퇴적물들이 포함된다. 몇 가지 종류의 퇴적층이 구분이 되는데, 이들은 분급이 안 된 것부터 분급이 된 것까지 점이적인 연속체로 나타난다. -얼음에 의해 쌓인 퇴적층 -표석점토와 미아석 표석점토 표석점토는 얼음에 의해 직접 쌓인 분급이 안 된 표류층이다. 이 용어는 퇴적물의 기원이 이해되기 훨씬 전부터 스코틀랜드의 농부들의 의해 사용되었다. 표석점토내의 돌 입자들은 얼..

피요르드와 빙모와 대륙빙에 의해 생긴 지형들에 관하여

-피오르드 피오르드는 노르웨이의 서해안, 알래스카, 브르티쉬 콜럼비아, 칠레, 뉴질랜드, 그리고 캐나다 북부에 흔히 나타나는 지형이다. 피오르드는 일반적으로 바다쪽 끝부분이 얕고 육지 쪽으로 깊어진다. 이것은 피오르드 형성초기, 빙하 말단의 상류 지역에서 빙하 침식이 더 깊이 일어난 결과이며, 이로 인해 빙하 계곡 바닥에는 때로 깊이가 해수면보다도 300m 이상 낮은 길쭉한 분지가 생긴다(그림12.22). 예로써 노르웨이의 소그너 피오르드는 깊이가 1300m에 그림12.22 캐나다 피요르드 캐나다 북동부 베핀섬(Baffin Island)의 북동쪽 연안이 피요르드에 의해 쑥들어간 모양을 있고 있다. 만약 이 피요르드가 물 바깥으로 드러나면 요세미티 계곡과 모양이 비슷할것이다. 달하지만 바다 쪽 끝에서는 수..

빙하작용(빙하 침식과 지형, 빙하 침식의 소규모 구조들, 빙하작용을 받은 산의 지형 및 피요르드)에 대하여

-빙하작용 빙하 얼음의 작용으로 지표면이 변화하는 현상인 빙하작용은 유럽, 아시아, 그리고 남북 아메리카의 광범한 지역에 걸쳐 극히 최근에 일어나 현재의 지형이 풍화작용, 질량사태, 그리고 유수에 의한 침식에 의해 변화될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식생의 피복을 제외하면 빙하작용을 받은 이 지역의 지형은 얼음으로부터 노출된 이후 거의 바뀌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는 지질학적 작용과 마찬가지로, 빙하작용은 퇴적물의 침식, 운반, 그리고 퇴적을 수반한다. -빙하 침식과 지형 빙하가 땅 위를 흐르며 지표면을 변화시킬 때, 빙하는 쟁기와 끌, 그리고 썰매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한다. 빙하는 쟁기와 같이 풍화된 암석과 토양을 긁고 기반암 덩이를 뜯어내며, 끌과 같이 암석을 갈아 없애며, ..

빙하의 이동, 내부포행, 바닥 미끄러짐, 흐름의 속도와 방향과 빙하쇄도에 관하여

-빙하의 이동 우리는 빙하가 움직이고 있음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은 늦여름에 빙하를 찾아가 얼음 표면 위에 놓인 거력의 위치를 빙하 주변의 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조심스럽게 측정하는 것이다. 일 년 후에 되돌아가 보면, 거력이 빙하 아래쪽 방향으로 수 m 가량 이동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실제로는 거력을 싣고 있는 빙하가 움직인 것이다. 무엇이 빙하를 움직이는 지는 금방 알기가 힘들지만 빙하와 그 주변의 지형을 관찰함으로써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이 실마리들은 빙하가 내부의 변형과 기반암 위로 미끄러지는 두 가지 방법으로 움직인다고 말해준다. -내부 포행 산사면에 쌓인 눈과 얼음의 누적된 양이 임계 두께에 달하면 이 물질들은 중력의 영향으로 변형을 받으며 사면 아래로 흐르게 된다. 위..

빙하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 질량수지, 빙괴분리 등에 관하여

-빙하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 스코틀랜드의 선구적인 빙하학자인 제임스 포브스는 19세기 중반에 알프스 산맥을 방문하여 유럽의 최고봉인 몽블랑에서 흘러 내려오는 기다란 계곡 빙하들의 범위를 지도에 기록하였다. 포브스의 시대 이후로, 이 빙하들은 크게 줄어들어 백년 전 까지만 해도 두꺼운 얼음에 덮여 있던 계곡의 바닥이 광범위하게 노출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빙하 크기의 변화가 전 세계적으로 기록 되었다. 몇몇 빙하들이 크기 변화 없이 유지되거나 확장한 반면, 대부분의 빙하들은 알프스 산맥의 것과 마찬가지로 19세기말 이후 극적으로 후퇴하였다. 빙하가 왜 전진과 후퇴를 하며, 왜 지역에 따라 다른 행동을 보이는지 이해하려면, 빙하가 물질의 증감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림12.9 얼름의 재결정 ..

온빙하와 극빙하, 빙하와 설선, 눈의 빙하 얼음으로의 변환 등에 관하여

-온빙하와 극빙하 빙하는 크기와 형태뿐만 아니라 내부 온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온도는 빙하의 움직임과 빙하가 지형을 만드는 방법을 결정하므로 분류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온빙하의 얼음은 어떤 특정한 압력에서 얼음이 녹는 온도인 압력 융점에 도달해 있다(그림12.7A). 중-저위도 지방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이런 빙하에서는 얼음과 녹은 물이 평형상태로 함께 존재한다. 연평균 기온이 어는 점 이하인 고위도 지방과 높은 고도에서는 빙하의 온도가 압력 융점 이하로 유지되며 계절적인 해빙이 일어나지 않는다. 얼음이 압력 융점 이하로 유지되는 이러한 빙하를 극빙하 라고 한다(그림12.7B)그림12.7 온빙하와 극빙하, 온빙하와 극빙하는 내부온도 분포곡선(붉은선)A. 온빙하의 얼음은 표면으로부터 바닥까지 온도가 ..

빙하와 빙모, 대륙빙과 빙붕 등에 관하여

-과거 사건의 차가운 기록 평균 크기의 산지 온빙하의 대부분은 가장 오래된 얼음이 수백 년에 불과한 나이를 갖는다. 이에 비해, 어는점보다 훨씬 낮은 온도를 갖는 극지방의 거대한 대륙빙과 저위도 고산 지대의 빙하는 가장 오래된 얼음이 최근의 몇 차례 빙하기에 해당하는 나이를 갖는다. 빙하위에 눈이 쌓여 다져지고, 눈이 서서히 빙하얼음으로 변하는 도중, 눈 결정 사이의 기포에 공기가 포획된다. 이렇게 포획된 공기는 그 얼음이 형성 될 당시 빙하 위 대기의 시료가 된다. 얼음을 채취하여 포획된 기체와 고체 입자를 분석하게 되면 일련의 정보가 얻어진다. 빙하기 동안의 과거 대기 조성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은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것들이다. 얼음 코어로부터 안정 동위원소를 측정하게 되면 얼음이 ..

맨틀 내층구조의 여러 가지 물성(저속대)-중력이상과 지각평형

-맨틀 내층구조의 여러 가지 물성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맨틀 내부에는 현저한 성분 경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림 16.2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지각의 하부에서부터 핵-맨틀의 경계부에 이르기까지 지진파의 속도는 규칙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맨틀 내부의 물성 변화로 인해서 급격한 속도변화가 나타난다. -저속대 맨틀의 상부에서 P파의 전달속도는 약 8km/초 이고 핵-맨틀의 경계에서는 14km/초 로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맨틀 내부에서의 속도증가는 완만하고 일정하게 일어나지 않고 있다. 지각의 하부에서 약 100km깊이까지는 P파의 속도는 약 8.3km/초 까지 서서히 증가한다. 그러나 여기서부터 속도가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약 8km/초 까지 떨어지고 이 상태가 약 350km 깊이까..

지진파를 이용한 지구내부의 연구

앞에서 P파와 S파의 전달속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이 두 가지 종류의 지진파는 또한 매질의 특성변화에 대한 반응도 상이하다. 지진기록에 나타난 P파와 S파의 도달시간은 그들이 통과한 경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서 암석의 특성이 변화하는 양상과 현저하게 다른 성질을 보여주는 층과 층 사이의 경계면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지진파는 우리가 직접 볼 수 없는 지각, 맨틀 그리고 핵의 특성을 조사할 수 있는 가장 정밀한 방법이다. -지구내부의 층 구조와 그 성분 만약 지구내부의 성분이 균질하고 광물의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P파와 S파의 속도는 깊이에 따라 매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 이유는 지진파의 전달속도를 결정하는 두 가지 요소인 밀도와 탄성계수가..

지진과 판구조론(확장경계, 수렴경계, 변환단층 경계)-지진예측

진원의 위치 및 지진파의 초기 운동자료는 판구조론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가장 정확한 증거를 제시하여 주었다. 그림 16.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 경계부는 좁은 지진대에 의해서 그 윤곽이 잘 나타나고 있다. 판 경계부에서의 판의 상대운동은 초기운동의 연구를 통해서 결정되어질 수 있다. 제2장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판 경계가 있음을 알았다 ; (1)발산경계 또는 확장경계, 열곡이나 해저 산맥이 여기에 속한다; (2) 변환단층경계; (3)수렴경계, 해구나 또는 대륙의 충돌대가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판경계부들은 각각의 독특한 지진파의 초기운동과 지진심도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림 1.18을 다시 살펴보면 각 판경계의 종류별로 거기에 수반되는 지지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확장경계 ..

728x90
반응형